오산시 중증장애인자립센터가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하라”며 중앙동 롯데마트 옆에서 13일 현재 무기한 단식농성을 4일째 벌이고 있다.
자립센터의 무기한 단식농성과 관련해 민노당 오산시위원회와 국민참여당, 참여연대, 여성회 등 정당과 시민단체의 지지 성명서와 현장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무기한 단식농성에 들어간 자립센터는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에 따라 등록장애인(1·2급 장애인) 200명당 1대의 특별 교통수단(리프트시설 장착차량)을 확보하게 되었음에도 오산시는 이러한 법률을 전혀 안지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관련법에 따라 시 등록장애인 1800명에 9대의 특별교통수단 차량을 확보해야 한다.
그러나 시에는 이러한 차량은 전무하고 단체와 기관에서 운영하는 민간복지 차량(탑승인원 1명, 휠체어) 3대만 운행되고 있다.
자립센터는 “지난 7월 시는 오산교통약자편의증진조례 제정과 2차 추경예산에 특별교통수단 차량 예산(3억원, 3대) 편성을 약속했으나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며 약속이행을 시에 촉구하고 있다.
자립센터 관계자는 “시가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약속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언제까지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의 요구를 묵살할 것인지 묻고 싶다”고 반문했다.
이 관계자는 또 “적어도 내년 상반기에 3대, 하반기에 2대 등 모두 5대의 특별교통수단 차량이 확보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민주노동당오산시위원회는 13일 성명서를 내고 “민주당이 장악하고 있는 시의회는 6억3000만원을 들여 회의실 등을 초호화로 리모델링하고 의회의장은 수영대회를 개최하는 등 치적쌓기에 혈세를 낭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민노당은 “시가 각종 축제와 체육행사를 진행하면서 연예인을 초청하는데 쓰는 예산은 어디에서 나오는가”라고 반문한 뒤 “그러면서 서민과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을 위해 쓸 재정이 없다는 모순된 행보를 시와 의회가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노당은 “민주당이 말하는 복지는 껍질뿐인 복지”라며 “시장은 장애인단체와 한 약속에 대해 실질적인 행동을 보일 것”을 촉구했다.
한편 국민참여당과 민노당 등 정당과 여성회,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의 지지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 예산 부족으로 올해 추경예산에 반영하기 어렵다”며 “내년 예산에 반영할 것을 현재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