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6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농업칼럼] 동지팥죽으로 건강한 한해를 시작하자

 

12월 동짓날이 가까워지면 누구나 팥죽을 생각하며 군침을 흘린다. 요즘도 동짓날 팥죽을 먹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에게 동지팥죽은 전통음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왜 동짓날 팥죽을 먹는 걸까? ‘동지는 병일이라 일양(一 陽)이 生하도다. 시식으로 팥죽 쑤어 이웃과 즐기리라.’

농가월령가 11월령에 나오는 귀절로 동지는 24절 중 하나로 대설과 소한사이에 위치한다.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의 길이가 가장 짧아 서울에서는 9시간30여분에 불과하며 이날을 기점으로 해 낮의 길이가 길어짐으로 과학적으로 보면 동지를 사실상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시점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우리조상들은 동지를 ‘작은설’이라 해 크게 축하하고 이날 새해 달력도 주고받고 했다. 동지는 주로 음력 11월 안에 들게 되는데 11월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께 드면 ‘노동지’라 했다. 애동지때 팥죽을 쑤어 먹으면 아이들에게 나쁘다 해 11월 중순 이후에 든 동지에만 팥죽을 쑤고 자기 나이 수 만큼 새알심을 넣어서 먹으면 한 살을 더 먹게 된다고 생각했다.

고려·조선 초기에 동짓날은 어려운 백성들이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겼으며 팥죽을 쑤어 먼저 사당에 올려 차례를 지낸 다음 방과 장독, 헛간 등에 한 그릇씩 떠다 놓고 대문이나 벽에는 죽을 뿌리는 풍습이 전해 내려오는데, 동서양을 막론하고 붉은 색은 양(陽)의 색으로써 나쁜 액귀를 쫒는다고 믿고 있으며 출애굽기에 보면 이스라엘 사람들도 문설주에 양의 피를 발라 재앙을 면했다고 한다. 또한 티벳 불교에서 가장 높이 추앙되는 아미타바(Amitabha) 역시 붉은색의 부처로서 태초에 색중의 색 ‘생명의 빛깔’을 상징하고 있다.

동지팥죽의 팥은 악귀를 물리치는 상징적 의미도 있지만, 영양분이 풍부해 겨울에 공급을 받지 못하는 양분을 보충하라는 선인들의 지혜도 담겨 있는 것 같다. 팥에 많이 함유돼 있는 비타민 B1은 탄수화물을 에너지로 바꿔주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쌀밥에 섞어 먹으면 소화가 잘되며 피로회복, 근육통에 효과가 있다. 또 식이섬유가 풍부해 변비를 해소하고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질을 저하시켜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예방해 주며, 이뇨작용도 돕기 때문에 체질과 나이에 상관없이 먹을 수 있는 식품이다.

현재 팥은 동짓날 먹는 전통음식인 팥죽을 비롯해 떡, 빵, 과자 속의 달콤한 팥앙금, 여름철 한더위를 잊게 하는 시원한 팥빙수, 전라도식 별미 팥칼국수 등으로 현대인의 미각을 사로잡는 건강식품으로서 뿐 아니라 천연색소, 다이어트 음료, 미백용 화장품 등 다양화 용도로 사업화 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이러한 팥의 가치에 주목해 그동안 전통적으로 붉은색 뿐 아니라 심미적 효과를 고려해 황갈색, 연녹색, 검정색, 황색 계열의 팥 품종을 육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품종들은 시각적인 기호성에 더해 항산화, 항고혈압 활성이 높아 시장에서 인기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동짓날 팥죽을 먹지 않으면 귀신을 막지 못할 뿐 아니라 쉽게 늙고, 잔병도 많이 생기고 일년 내내 몸이 불편해진다고 한다.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살 더 먹는다는 속담도 있다. 한해를 넘기는 시점에서 팥죽을 쑤어 이웃과 서로 나누면서 묵은해의 나쁜 운을 모두 없애고 건강한 한해를 시작하자.

/송석보 농진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잡곡과 농업연구사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