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비상대책위에 참여하는 외부 비대위원들이 12일 총선 불출마를 결의했다.
김종인 비대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비대위원들이 정치적 뜻이 없음을 표시하기 위해 지역구든, 비례대표든 출마할 생각이 추호도 없음을 천명하자”고 제안했고, 다른 외부 비대위원들도 이에 동의했다고 황영철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현재 비대위는 김종인·이상돈·이준석·이양희·조동성·조현정 위원 등 6명의 외부 비대위원이 참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어렵게 말씀한 것으로, 이를 정리해 발표하는 게 좋겠다”며 이들의 결의에 동의를 표시했다.
이 같은 외부 비대위원들의 ‘불출마 결의’는 고강도 공천개혁을 예고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비대위는 또 당내 갈등으로 비화된 정강·정책에서 ‘보수’ 용어를 삭제하는 문제를 더이상 논의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당 정강·정책에서 사실상 보수 용어가 유지되게 됐다.
한나라당은 정치쇄신분과가 제시할 공천개혁 초안을 바탕으로 오는 17일 비대위원과 당 소속 의원들이 참여하는 연석회의에서 논의를 거쳐 19일 비대위 전체회의에서 공천개혁안을 확정한다.
비대위는 이날 공천기준 중 하나로 4.11총선 후보자 공천을 위한 경선과정에서 ‘돈 봉투’ 살포와 같은 행위를 한 후보자에 대해 즉각 후보자격을 박탈키로 했다.
한나라당은 후보자 공천과 관련 전체 지역구 후보의 80%를 ‘혼합형 국민참여경선’으로 선발할 계획이다.
과거 당 공천개혁특위는 국민 50%, 당원 50%가 참여하는 방식의 국민경선을 제시했으나, 비대위는 이보다 국민 참여비율을 확대, ‘60대 40’ 또는 ‘70대 30’의 국민경선을 검토하고 있다.
공천심사위 구성에 있어 당내 인사가 참여하는 비율을 3분의1로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지난 18대 총선 공심위의 경우 위원장을 포함한 총 11명의 공심위원 중 6명이 외부 인사였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