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6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경찰의 총기관리가 이렇게 허술해서야

얼마전 살벌하게 생긴 공기총을 경찰이 겨누고 있는 장면이 언론에 보도됐다. 사실 언론의 사진 촬영을 위해 경찰관이 연출한 장면이기는 하지만 총기의 생김새나 정밀도가 엄청난 파괴력을 지녔을 것이라는 추측을 불러일으키게 한다. 다행히 경기지방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가 인터넷에서 판매하다 적발한 것이어서 다행스럽지만 이러한 총포류가 시중에 나돌아 범죄에 노출됐다면 그 피해는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우리나라는 총포류 관리가 엄격해 아직까진 범죄현장에 이러한 총포류들이 등장하고 있지는 않지만 외국의 사례를 보면 총을 이용한 강력범죄가 사회의 기강을 송두리채 흔든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 총포류 관리가 얼마나 신중하게 이뤄져야 하는 가를 알 수 있다. 경찰관이 휴대하고 다니는 38구경 권총이 경찰관의 몸을 벗어났다고 치자. 당장 그 총의 행방을 쫓을 수 없는 한 범죄의 수단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현장에서 발견된 총기를 장난감 다루듯 하다가 애꿎은 시민이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총기는 누가 소지하고 있느냐에 따라 ‘안전’과 ‘범죄’라는 각기 다른 운명을 넘나들게 마련이다.

경찰의 총기관리는 그래서 신중하고 엄격히 이뤄져야 한다. 경찰이 실탄이 든 권총을 분실하고 이틀이 지나서야 시민신고로 되찾자 허술한 총기관리 문제가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5일 용인동부경찰서에 따르면 이 경찰서 구갈지구대 A(37) 경사는 2일 오전 8시7분께 근무교대를 위해 총기를 점검하던 중 자신의 가슴 권총집에 차고 있던 38구경 권총 1정이 없어진 것을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의 총기관리의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근무 중에 현장을 다녀온 뒤나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총기를 점검하는 규정이 없다. 분실방지끈이 달린 권총집 착용을 의무규정으로 두지 않고 편의에 따라 자율에 맡기고 있다. 지구대서 권총 분실시 해당 경찰서에 바로 보고해야 한다는 규정도 지켜지지 않았다. 구갈지구대 측은 A경사가 권총을 잃어버린 사실을 확인한지 3시간30분가량이 지난 2일 오전 11시30분쯤 용인동부경찰서에 분실사실을 보고했다.

총기분실 후 의 대처도 문제였다. 권총을 찾기 위해 100여명의 인력을 동원하면서 경사의 진술에만 의존, 엉뚱한 곳을 뒤지는 등 수색이 부실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결국 경찰이 분실한 총기는 시민에 의해 지난 4일 용인 민속촌 주차장에서 발견돼 접수할 수 있었다. 권총을 잃어버린 A경사 말대로 현장에 출동해 사건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분실될 수도 있다. 이번 기회에 좀더 구체적인 총기관리 규정을 만들어보자는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