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후보들과 지역주민은 물론이고 현직 의원들마저 이번 결과에 당황하며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수원 팔달구에만 2개 구청이 자리잡게 되는 등 선거구 결정에 반발하고 있는 염태영 수원시장과 서둔동 지역주민들은 29일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과 함께 효력정지가처분신청서를 제출했다.
염 시장은 이날 직접 주민들과 함께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과 효력정지가처분신청서를 낸 뒤, “이번 선거구 행정구역 조정의 꼼수는 국민을 무시한 처사라 그냥 묵과할 수 없다”며 “정치권이 다시는 이같은 꼼수를 부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권선구에 지역구를 둔 새누리당 정미경 의원은 지난해부터 역점적으로 추진해오던 서울농생대 부지 활용계획이 서둔동 지역이 팔달구 편입에 따라 선거정책으로 활용할 수 없게 되면서 난감해하고 있다.
정 의원실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김문수 지사와 만나 서울농생대부지를 테마파크로 조성키로 협의하고 있었는데 이같은 결과가 나와 안타깝다”며 “현재 대책마련을 위해 내부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예비후보들 역시 난감하긴 마찬가지다.
이기우 민주통합당 수원을 예비후보는 “권선구의 정책중심 서수원이 팔달구로 영입되면서 서울대농대부지 활용과 비행장 소음해결 등 핵심 공약들을 사용할 수 없게 됐다”라며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높아져 어떤 공약도 소용이 없어 민심을 달래는 캠페인 위주의 선거운동을 전환하려 한다”고 밝혔다.
용인시 수지구의 예비후보의 경우 수지 상현2동이 기흥구에 편입됨에 따라 부동산가치 하락을 걱정하며 반발하는 유권자들의 민심을 달래기 위해 전전긍긍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성환 새누리당 용인을 예비후보는 “본인 역시 상현동 주민으로 선거당일 기흥구의 국회의원을 선출해야 하는 웃지못할 일이 벌어졌다”라며 “이와 함께 준비한 공약을 선보이지도 못한 것도 문제지만 이보다도 집값하락을 걱정하며 항의하는 유권자들을 어떻게 달래야하나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양평·가평·여주의 경우 너무나도 방대한 선거지역으로 혼란스러운 고민에 빠졌다.
양평·가평 예비후보였던 민주통합당 김봉현 예비후보는 “밤에 여주까지 이동해보니 3시간 20분이 걸렸다”라며 “선거운동을 아예 하지 말라는 것”이라고 분통을 터트렸다.
또 “갑자기 여주에 대한 공약을 만들어 낼 수도 없는 상황에서 그렇다고 여주지역을 포기할 수도 없어 온라인과 언론 홍보 등을 통한 미디어 선거운동으로 대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여주의 신철희 민주통합당 예비후보 역시 답답하긴 마찬가지다. 신 예비후보는 “선거 40일을 남겨두고 단시간내에 공약을 변경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라며 “생활권을 무시한 이같은 횡포에 분노를 느낀다”고 털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