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3주년 3·1절이 지나갔다. 전국 곳곳에서 3·1만세운동의 애국애족 정신을 기리는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졌다. 서울에서는 세종문화회관에서 기념식이 열렸고, 충남 천안에 있는 독립기념관에서도 93년 전 그날 방방곡곡에 울려 퍼진 만세운동의 민족혼을 숭앙했다.
경기도 곳곳에서도 기념행사가 열렸다. 광주 나눔의 집에서 3·1절 행사 및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추모제가 진행됐다. 추모제는 순국선열과 돌아가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묵념, 헌화, 추모사, 추모글 낭독, 타임캡슐 매설, 문화공연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3·1운동의 역사적 현장인 화성시 향남면 제암리 일대에선 시민 1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3·1운동 기념비 참배, 만세재현 등의 행사가 열렸다.
이명박 대통령은 3·1절 기념사에서 “3·1운동이 오늘날 더욱 빛나는 것은 위대한 ‘관용’ 정신에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군대위안부 문제를 다시 꺼내 들었다. 한일 두 나라 사이에 진정한 동반자 관계가 구축되려면 역사의 진실을 외면해선 안된다고 했다. 군대 위안부 문제의 조속한 해결이 그 시금석이 될 것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못박은 셈이다.
집권 4년을 넘긴 이 대통령이 3·1절이나 8·15 광복절 기념사에서 직접 군대위안부 문제를 언급하면서 일본에 적극적인 해결을 요구한 것은 처음이라고 한다. 한일 과거사 문제 중에서도 군대위안부 보상·사과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는 인식을 반영한 것이라고 짐작된다. 이 대통령은 작년 12월 일본 교토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군대위안부 문제 해결을 강력히 촉구한 바 있다.
그런데 불과 두 달여 만에 3·1절 기념사에서 다시 이 문제를 정면으로 제기한 것은 이 문제를 임기 중 해결하려는 의지가 그만큼 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미 끝난 문제다’라는 자세를 견지하는 일본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된다.
이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 군대위안부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일본에 거듭 요구한 만큼 우리 정부도 이에 상응한 외교적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정부는 지난달 하순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일본 정부를 겨냥해 군대위안부 문제를 제기하고, 피해자 배상과 책임자 처벌 필요성을 강조했다.
여당은 얼마 전 군대위안부 문제 태스크포스(전담반)를 발족시켰다고 한다. 그저 체면치레로 끝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정부는 물론, 여당도 실질적으로 문제 해결을 앞당길 방책을 내놓아야 믿음이 가지않겠나. 분발해주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