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청년 실업문제가 사회적 문제점이 되고 있지만 청년실업 못지않게 중·장년과 노년들의 취업문제도 심각하다. 젊은 사람들 일자리도 구하기 어려운데, 경제력이 없는 나이든 사람들은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현실에서 요즘 ‘마을기업’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마을기업은 향토의 각종 특화자원을 활용해 지역주민이 주체가 돼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일자리와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이다. 즉 영농회·부녀회·노인회 등 지역주민이 주체가 돼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일자리와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이다.
이를테면 손맛이 좋은 노인층이 모여 사는 마을에서는 밑반찬이나 된장, 간장, 고추장 등을 만들어 팔 수 있으며 콩을 많이 경작하는 지역에서는 두부를 만들어 소득을 올릴 수 있다. 일자리와 소득 창출이 가장 큰 목표지만 마을기업이 운영됨으로 지역주민 간의 공동체가 더욱 단단해지고 이웃간의 우의가 돈독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실시되고 있는 마을기업 대상사업은 ▲지역특산품과 자연자원을 활용하는 지역자원활용형사업 ▲쓰레기 폐자원을 재활용하는 친환경녹색에너지사업 ▲저소득취약계층과 다문화가족을 위한 생활지원복합형사업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업비는 국가와 지자체가 부담한다.
이 사업은 행정안전부의 예산지원으로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 시·도에서 시행되고 있다. 국가와 지자체가 사업비를 부담한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16개 시·도에서 550개 마을기업이 육성돼 일자리 3천145개가 만들어졌고, 이 마을기업들이 총 197억원의 매출실적을 올렸다고 한다. 경기도에서는 지난해까지 총 93개 마을기업을 육성해 502명의 일자리와 22억원의 수익을 창출했다고 밝히고 있다. 행안부는 올해 마을기업을 700개까지 확대하는 한편 자립형 사업 위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경기도에 의하면 올해 국비 12억5천700만원, 도비 4억8천만원, 시군비 7억77만원 등 총 25억1천400만원을 들여 기존의 93개 마을기업 외에 13개를 새로 선정해 총 106개 마을기업을 육성·지원하기로 했다고 한다. 아울러 이들 마을기업이 안정적 성장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홍보책자 발간, 박람회 개최 등을 통해 판로를 지원하고 회계, 정산교육, 경영컨설팅, 마을기업 협의회 구축 등 다각적인 지원을 펼칠 계획이라고 한다. 국민적 동의를 얻어낸 대형 국책사업도 필요하지만 마을기업을 대대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