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왕시가 왕송호수 주변 5.3㎞ 구간에 270억원을 투입, 2013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왕송호수 레일바이크 사업이 논란을 빚고 있다. 이어 수원시와 의왕시 소유로 나눠진 왕송호수 수면 일부 및 제방과 월암동 일부를 교환하는 내용의 행정구역 조정 추진문제가 또 다시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39개 도내 환경시민사회단체들은 행정구역 조정 추진이 레일바이크 강행을 위한 꼼수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들은 ‘수원시와 시의회는 왕송저수지 인근 행정구역 경계조정 요청에 대해 거부하라’며 공동성명까지 냈다.
의왕시와 농어촌공사는 2개 시에 걸친 의왕저수지 관리상 어려움을 이유로 의왕 초평동 등 3개동과 수원 장안구 입북동 등 2개동에 대한 경계조정을 수원시의회에 요청한 바 있다. 이들은 환경수도를 추구하는 수원시와 시의회는 분명한 반대 입장을 전달해 달라고 압박하고 있다. 그이유로 왕송저수지는 멸종위기 조류의 서식지이며 수원의 젖줄 중 하나인 황구지천의 시점으로 보호구역으로 지정 관리돼야 할 곳이라는 점을 들었다. 특히 연간 50~90만 관광객을 유치하려면 주변 요식과 숙박시설 설치 등으로 왕송저수지 생태계에 미치는 부담과 영향이 매우 클 것이라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들리는 얘기로는 12일 열린 수원시의회 임시회에서도 시의원들이 부정적인 견해를 표명했다고 했다. 이제 수원시가 어떻게 결정할지 모르지만 왕송호수 주변 철도 테마파크 조성을 위한 레일바이크를 설치 사업문제가 쉽게 해결날 것 같지는 않다. 먼저 시민단체와 지역주민들이 이견을 보이고 있어 갈등이 심각하다. 왕송호수 주변 주민들은 레일바이크가 설치되면 우선 차도는 물론 자전거도로, 산책로 등이 들어서게 돼 지역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며 고용창출효과, 관광객 증가로 농가소득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며 적극 환영한다.
하지만 시민단체는 생태를 교란하고 환경을 파괴할 것이 자명하다며 전면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한쪽의 주장이 그르다고 무작정 비난만 할 수는 없다. 지역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올릴 수 있도록 개발하는 것도 필요하다. 앞으로 왕송저수지가 도시민들에게 자연속의 쉼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 주민들의 소득을 창출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됐으면 한다. 그러나 수익성에만 급급한 나머지 저수지가 본래 기능을 잃게 하면 안된다. 그래서 환경 보존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