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의 국부펀드 자금을 활용해 국내 기업이 제3국 건설 사업에 진출하는 방안이 가시화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카타르 투자청과 해외 공동투자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다음달 체결하기로 합의했다고 19일 밝혔다.
MOU 체결은 국토부와 카타르 투자청이 지난 3월 한국기업이 발굴한 해외 프로젝트 등에 대해 카타르 국부펀드가 공동투자 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우리나라는 시범적으로 아프리카 가나 서부도로 사업과 인도네시아 석탄터미널 사업을 카타르 측에 제안했고, 카타르는 이를 적극 수용해 구체적인 검토작업에 들어갔다.
이 사업에는 카타르 국부펀드와 글로벌인프라펀드(GIF), 우리나라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참여하게 된다.
이번 프로젝트가 성사되면 그동안 단순 수주, 시공 위주로 이뤄지던 국내 해외건설사업이 중동의 풍부한 국부펀드 자금을 활용해 투자개발형 건설사업을 대폭 확대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하게 된다.
국토부는 또 아랍에미리트(UAE)와도 국부펀드를 활용해 우리 건설기업과 중동, 제3국 건설 프로젝트에 공동 진출키로 지난 17일 합의했다.
이와 함께 카타르 공공사업청 등이 발주 예정인 도하베이크로싱(60억 달러), 하수처리시설(25억 달러) 등과 UAE의 아부다비공항 확장사업(30억 달러), 아부다비 메트로사업(70억 달러)에 우리기업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협조를 부탁했다.
김경식 국토부 건설수자원 정책실장은 “카타르 뿐 아니라 세계 최대규모의 국부펀드(7천억 달러)를 운용하고 있는 UAE의 펀드운용기관인 Invest AD, 무바라다, 아부다비 국영석유투자회사(IPIC) 관계자과 공동진출에 대한 기본적인 합의를 한 상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