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5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일진 잡는 경찰’이 필요한 우리교육

학교폭력문제가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괴롭힘을 당한 아이들이 원한에 찬 유서를 남기로 자살이란 극단적인 방법을 택하고 있다. 학교의 폭력조직인 이른바 일진들 가운데 일부는 외부의 성인 조폭들과도 연결돼 있다는 보도도 나온다. 학교폭력문제가 얼마나 심각한가 하면 일국의 대통령이 지난 16일 도내 여주군 여주중학교에서 학교 폭력 피해 학생들과 간담회까지 했겠는가? 대통령이 찾은 여주중학교는 문제학생의 신속한 격리 조치, 즉각적인 경찰수사, 학교의 치유캠프 운영 등을 통해 학원폭력을 근본적으로 해결했다고 한다.

이날 대통령은 학교 폭력에 대해 처벌 인변도로 흐르는 것을 경계한다면서도 “폭력이 한계를 넘은 것은 법으로 조치할 수밖에 없다”고 단호한 자세를 보여주기도 했다. 이 말은 즉 이미 학원 폭력이 한계를 넘은 학교가 많다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폭력·욕설이 심각한 상황이라면 기록으로 남기고 교사와 부모에게 알리라고 권유한다. 하지만 아이들이 어렵게 결심해 털어놔도 부모나 교사가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인터넷에 올라 온 한 네티즌의 지적은 이런 현실을 잘 나타내준다. 일부를 인용해 보자.

“경찰에 신고해야 해요. 학생이 선생님한테 학교폭력 상담했는데 그걸 해결 못하니깐 저런 일이 발생하는 거 아닙니까? 우리나라의 엄청난 정보로 경찰들이 잘 잡아내죠” 이 네티즌은 학교 측은 자신들의 체면 때문에 오히려 뒤로 감추는 것 같다는 냉소적이고 날 선 지적도 했다. 이처럼 국민 여론이 들끓으면서 경찰이 학교폭력 전담경찰관을 306명에서 514명으로 추가 배치한다. 교육청, 학교와 교사 등이 학교폭력과 관련해 경찰 지원을 요청하는 경우 전국 각 초등·중·고등학교 명예교사로 삼아 협력 관계를 강화할 방침이란다.

보도(본보 24일자 6면)에 의하면 경찰의 자체적인 설문조사 결과 교사 3분의 1이 학교당국에서 학교폭력을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고, 3분의 1은 경찰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고 한다. 경찰은 이번 달 말까지 경찰이 주도적으로 학교폭력 근절에 노력하고 5월부터는 교육당국에 주도권을 넘기겠다고 천명했다. 분명히 학교의 주인은 학생과 교사,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다. 그런데 이들은 학원폭력을 막아내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당연히 경찰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 방법이 옳은지 그른지를 떠나서 우리 교육이 언제부터 경찰에 의존해야 할 만큼 잘못돼가고 있는지 참으로 안타까울 뿐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