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0명 중 3명은 외국인이다. 이 정도면 이미 다문화사회에 진입했다고 봐도 된다. 그러나 도민들의 다문화에 대한 시선은 결코 곱지 않다. 특히 최근 ‘오원춘 사건’ 이후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적대감이 많이 확산됐다. 지난 2011년 1월 기준 경기도 거주 외국인은 38만606명이나 된다. 이는 전국의 약 30%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들 중 절반이 넘는 사람(53.0%)이 근로자이다. 또 결혼이주자 및 자녀도 25%나 됐다. 이 시점에서 경기개발연구원의 다문화의식 실태조사가 눈길을 끄는 것은 당연하다.
조사결과 도민 59.4% ‘다문화 사회화 긍정적’이었지만 53.8%는 ‘범죄·사회안전에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즉 도민들이 외국인들의 범죄로 인해 큰 위협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외국인 범죄 예방대책 마련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이밖에 불만 요소는 또 있다. 응답자들은 ‘사회복지비 증가’(19.7%), ‘자녀교육’(12.0%) 역시 다문화 사회화에 대한 불만 요소라고 응답했다. 특히 ‘불법체류자’(63.2%)를 가장 부담스러워했다. 이렇게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이유는 단일민족이라는 자민족중심주의가 43.3%로 가장 높았다고 한다.
문화적 갈등초래도 24.6%로 높은 편이었고 이주노동자로 인한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지적하는 사람들도 11.9%나 됐다. 당연히 외국인과의 일시적인 만남이나 친구 맺기는 긍정적이지만 내 자녀나 나와 결혼하는 것에는 부정적이라는 결과가 나타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모두가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이들이 노동시장에 기여하고 문화적 다양화와 개방성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는 답변도 많았다고 한다. 외국인 근로자 인권보호를 위해 고용주의 부당한 대우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25%나 됐다.
오원춘 사건이나 슈퍼마켓 흉기난자사건, 성폭행 사건 등 외국인들이 저지르는 범죄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대다수 외국인근로자들은 선량하고 부지런하며 자기 가족을 위해 험한 일을 마다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부와 지자체들은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생활실태 파악을 하고 다양한 관리 및 지원정책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임금체불 금지 대책 등 외국인 근로자의 실태파악 및 지원강화, 다문화 가정 자녀교육 지원사업 활성화도 필요하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자민족우월주의에서 벗어난 문화 간 이해가 필요하다. 다만 범죄를 저지르는 외국인에 대해서는 출신국의 눈치를 보지 말고 최대한 강력한 법적조치를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