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의 가계대출 부실채권 비율과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부실비율이 5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3월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 및 감독 방향’에 따르면 올 3월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1.51%로 지난해 12월 말(1.36%) 대비 0.15%p 상승했다.
부실채권 규모는 20조9천억원으로 같은 기간보다 2조1천억원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기업여신 부실이 17조5천억원(83.4%)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계여신 3조2천억원(15.3%), 신용카드 채권 3천억원(1.3%) 순이었다.
특히 3월 말 가계대출의 부실채권비율은 지난해 말 0.6%에서 0.71%로 오르면서 2007년 3월(0.71%)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연체율도 작년 말(0.54%) 대비 0.1%p 상승한 0.64% 기록, 2006년 9월(0.66%) 수준에 근접했다.
서강훈 금감원 선임조사역은 “올 1분기 중 선박건조업 및 부동산, 임대업 등 일부 기업들과 집단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신규연체액이 증가세를 보이고 가계여신 및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가 둔화한 점, 지난해 4분기 부실채권 정리실적이 감소한 점 등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올 3월 말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1.9%로 지난해 말 1.73% 보다 0.17%p 상승했다.
이 중 중소기업 부실채권비율은 2.35%로 0.18%p,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비율은 9.09%로 0.95%p 각각 올랐다.
올해 1분기 중 신규부실 발생규모는 5조4천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6조6천억원) 대비 1조2천억원 감소했다.
신규부실은 기업여신이 4조원으로 74.1%를 차지했고, 가계여신 및 신용카드 신규부실은 각각 1조2천억원, 2천억원 수준이다.
은행의 부실채권 정리실적은 3조3천억원으로 전분기(10조8천억원)보다 7조5천억원 줄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내은행의 위기대응 및 손실흡수 능력 강화를 위해 엄정한 건전성분류 기준 적용, 부실위험에 상응하는 적정수준의 충당금(대손준비금 포함) 적립 등을 지도하고 은행별로 부실채권 목표비율을 설정해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