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월11일 발생한 동일본대지진 당시 원자력발전소가 폭발해 인근 지역에 방사능이 유출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 미증유의 사건을 겪은 일본은 물론 인근 국가들까지 방사능 오염 우려로 전전긍긍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방사능 비나, 방사능 오염 일본산 식품 문제로 아직도 신경이 예민해 있다. 아울러 원자력 발전소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난 2월13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탈핵-에너지전환도시선언’에는 서울시와 수원시를 비롯한 전국 45개 지자체가 참여해 지난해 3월 후쿠시마 원전 사태를 계기로 원자력중심에서 신재생에너지로의 정책변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들 자치단체는 앞으로 수명이 다한 원전의 가동중단 및 원자력발전소의 추가건립에 반대하고, 지속가능 에너지 중심 국가로 나아가기 위해 연구와 실천을 통해 국가 에너지 정책의 전환을 촉구할 방침이다. 당장 전기에너지가 필요하긴 하지만 이젠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후쿠시마 사태로 원전의 위험성을 충분히 느꼈기 때문이다. 특히 원전기술의 우수성을 자랑하던 일본도 원전 사고 앞에선 속수무책이던 상황을 우리는 지켜보지 않았는가 말이다. 아직도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진행 중인데 참 답답한 소식이 들린다.
후쿠시마지역의 원주민 임시거주지 건설공사에 한국인근로자들이 대거 투입될 계획이라는 것이다.(본보 14일자 6면)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약 50㎞ 떨어진 조립식건물 공사현장에 투입할 판넬과 샤시, 전기 등의 전문인력 84명을 비공개로 뽑아 오는 5월말 후쿠시마 현장에서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한다. 지난해에도 이런 일이 있었다. 지진 발생 한달만인 지난해 4월 국내의 한 건설사가 후쿠시마에서 4개월 동안 일할 근로자를 뽑기 위해 구인공고를 낸바 있었다. 이때 ‘현대판 징용’이라는 여론의 뭇매를 견디다 못해 이틀만에 공고를 내렸다. 그런데 이번엔 모 건설회사가 점조직 형식으로 근로자를 모집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이 받는 보수는 월520여만원이다. 확실히 한국 현장노동자들의 급여보다는 많다. 문제는 방사능 피폭에 대한 우려다. 특히 이 지역은 외교통상부에서 정하고 있는 여행경보지역 2단계인 ‘여행자제-여행필요성 신중검토’ 지역이다. 이런 곳으로 자국민들이 일하러 간다면 말려야 한다. 강제금지 명령은 4단계에서만 가능하다지만 무엇보다 국민의 신변안전이 가장 중요하므로 관련회사와 작업참여 근로를 설득해야 마땅하다. 돈벌이보단 생명이 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