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온도 26도 이상 준수하기, 피크시간대인 14시부터 17시까지 냉방기 사용 자제하기, 불필요한 전등 소등 및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 뽑기 등을 꼭 실천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격적인 여름철이 시작되지도 않았는데 김황식 국무총리가 16일 ‘하계 전력수급 상황과 대책’과 관련해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했다.
안정적 전력 공급을 위해 400만kW의 예비전력이 필요하지만 이미 5월 초에 예비전력이 422만kW까지 하락했고 본격적인 여름철이 되면 400만kW의 예비 전력 확보가 어려울 것이라며 김 총리는 우려를 쏟아 냈다. 김 총리는 “5월 중순부터 여름철 절전에 대해 국민께 협조를 부탁하는 것은 그만큼 절박하기 때문”이라며 “에너지 절약 대책은 국민 여러분께서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참여해 주셔야만 성공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여름철 전력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올해 전기 공급능력은 지난해보다 90만kw 늘었지만 최대 전력 수요 증가는 480만k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게다가 올해는 일찍 찾아온 더위로 이달 초부터 예비전력 수치가 아슬아슬 한 상황이다. 더구나 일부 대형발전소와 원자력발전소가 점검을 위해 가동을 멈췄다. 이대로라면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7-8월엔 지난해와 같은 대규모 정전사태가 불을 보듯 뻔하다.
정부는 16일 여름철 전력대란을 막을 방안을 내놓았다. 전력피크 사용량의 50% 이상을 소비하는 산업계의 절전 유도를 위해 여름휴가를 8월 이후로 늦추고, 조업시간을 조정하거나 자가발전시설을 가동하면 인센티브를 준다는 것이다. 피크수요의 21%를 차지하는 백화점과 호텔 등 대형건물은 오후 2-5시 냉방온도를 섭씨 26도, 공공기관은 28도로 제한하고, 커피전문점·패밀리레스토랑·의류매장·금융기관에는 자발적 협조를 당부했다.
전력난 해결을 위해서는 낭비적 수요를 줄이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출입문이나 창문을 열어놓은 채 냉·난방기를 가동하거나 불필요한 전등을 밤새 켜두는 현장은 너무 낮 익은 모습이다. 자발적 절전 노력이 바람직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비용의 현실화도 생각해볼 일이다. 현재 우리나라 전기요금은 일본의 40%, 미국의 70%선에 그치고, 생산원가보다도 13%나 낮은 수준이다. 심지어 석유를 수입해다 생산한 전기 값이 석유 값보다 싸다고 한다.
고가의 수입석유에 의존하는 발전방식에서 자연에너지 등 대체에너지를 개발하는 방법의 강구가 필요하다. 발전을 담당하는 조직의 경영합리화를 통한 비용절감과 절감비용의 재투자로 에너지 생산을 늘리는 것은 기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