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15회째를 맞는 ‘오산 막사발축제’가 유일한 지역문화라는 특성만 내세운채 개인에게 편파적으로 지원되는 부실 축제라는 지적이다.
23일 오산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축제 위원장인 김용문 작가는 ‘오산 막사발축제’의 기획을 추진해 지난 14년간 막사발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그러나 ‘오산 막사발축제’는 14년의 역사와 달리 축제기간과 내용을 임의 변경하거나 생략하면서 개인의 입맛에 맞는 축제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더욱이 ‘오산 막사발축제’는 긴 역사에도 불구, 단 한 차례도 ‘우수축제’로 평가받지 못해 축제의 부실함이 오히려 축제를 망치고 있는게 아니냐는 평가마저 나온다.
축제가 열리는 행사장인 오산시 궐동 497-1 일대는 무허가 가설 건축물들이 밀집된 가운데 막사발축제가 연례행사로 치뤄지고 있지만, 관할 시로부터 어떠한 시정명령도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시와의 유착의혹마저 제기되는 실정이다.
특히 시는 지난해 9월 막사발축제와 관련 논란이 일자 현장 확인 후 행정법에 따라 고발 조치하겠다고 밝혔으나, 2011년 9월 14일 1차 시정명령 통보에 이어 올해 4월까지 2회에 걸쳐 사용연장을 허가해 준 것으로 드러났다.
또 연장신청 종료와 함께 지난 4월 2차 시정명령을 내린 시는 시정명령기간이 경과한 지난 14일에야 부랴부랴 고발 조치를 한 것으로 나타나 뒷북행정이란 비난을 자초하고 있는 상태다.
시민 이모(50·궐동)씨는 “막사발축제를 둘러싼 시의 행정은 교묘하고 이중적인 행태 그 자체”라면서 “지난 8개월간 시의 일방적인 막무가내 봐주기 행정 등에 대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허가권에서 충분한 검토와 판단 하에 기간연장을 부여 했을 뿐으로 현재 불법가설건축물에 대한 행정고발조치가 이뤄진 상태”라며 “업무상 바쁘다 보니 2차 시정명령이 지나고 시기를 놓쳐 조치가 한달 넘게 늦어진 것일뿐”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오산시는 축제 행사장터에 대한 논란이 가중되자 금년 막사발축제는 시청광장에서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매년 3천만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ms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