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올해 가계 집단대출 연체율 ‘고공행진’

올 들어 아파트 입주 관련 분쟁이 늘어나 가계 집단대출의 연체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집단대출은 아파트 분양·입주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출이다.

금융감독원이 21일 발표한 ‘국내은행 가계 집단대출 건전성 현황 및 향후 감독방향’ 자료를 보면 올해 4월 말 기준 가계 집단대출 연체율은 1.56%로 집단대출 이외 주택담보대출 연체율(0.40%)보다 4배 가까이 높았다.

집단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하반기 하락한 후 올 들어 1월 1.31%, 2월 1.44%, 3월 1.48%로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다.

올해 4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2조4천억원이다. 이는 전체 가계대출(451조1천억원)의 22.7%, 주택담보대출(305조6천억원)의 33.5% 규모다.

집단대출 종류별 잔액은 잔금 68조원(66.4%), 중도금 26조9천억원(26.2%), 이주비 대출 7조6천억원(7.4%)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37조8천억원(36.9%), 서울 22조7천억원(22.2%), 인천 12조1천억원(11.8%), 부산 5조9천억원(5.8%) 등의 순이다.

지방주택 경기 회복으로 올해 아파트 건설 실적이 전년 대비 증가하면서 이주비 및 중도금 대출은 증가세를 나타낸 반면, 잔금대출은 소폭 줄었다.

올 3월 말 기준 가계 집단대출의 부실채권 비율은 1.21%로 전년 동월(0.91%)보다 상승했다. 부실채권 잔액도 1조2천억원으로 전년 동월(9천억원)보다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집단대출은 리스크가 낮은 입주가 완료된 잔금대출 위주로 구성되고 중도금 대출 역시 시행·시행사 및 주택금융공사가 보증하고 있어 은행 부실화로 전이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하지만 소비자들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감독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