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발발 62주년을 맞았다. 우리의 안보의식과 참전용사들에 대한 처우, 북한의 도발 가능성과 우리 군의 안보태세 등을 다시 돌아보게 된다. 최근 행정안전부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북한 김정일 사후 김정은 체제에서의 무력도발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는 대답이 성인의 경우 56%가 넘었다. 그러나 성인의 70.4%는 안보와 관련한 우리 사회 내부의 분열과 갈등의 수준이 높다고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의 안보를 책임져야할 학생들이 6.25전쟁과 관련해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설문조사에서는 초ㆍ중ㆍ고ㆍ대학생 10명중 3명이 6.25전쟁이 언제 발발했는지 몰랐고, 전쟁을 일으킨 주체가 ‘북한’이 아닌 다른 나라라고 알고 있는 학생들이 23.7%에 달했다. 이대로 가면 언젠가는 우리나라에서도 6.25가 잊혀진 전쟁이 되지 않으리란 법이 없다.
미국에서도 이 전쟁을 잊지 않기 위해 140여개의 참전기념물을 만들고 해마다 기념식을 거행하고 있다. 미국 뿐만이 아니다. 캐나다, 영국, 프랑스, 벨기에, 호주, 뉴질랜드, 네덜란드, 필리핀 등 참전국들에는 각종 참전 기념비들이 세워졌다. 이 전쟁에 유엔군으로 참전한 16개국의 장병들중 4만여명이 목숨을 잃고 10만여명이 실종되거나 부상을 당했다. 한국은 참전국들에 큰 빚을 졌다. 이명박 대통령은 23일 한국 국가원수로서는 처음으로 콜롬비아를 방문해 감사의 뜻을 표시했다. 한국 대통령으로서는 휴전 이후 59년 만에 도시국가인 룩셈부르크를 제외한 참전국 15개국을 모두 방문하게 됐다는 의미가 있다.
강력한 국방력으로 전쟁을 억제하고 평화를 유지하려면 무엇보다 나라를 지키는 군인들을 존중해야 한다. 6.25 전쟁 참전용사들중 생존자들은 월 12만원에 불과한 용돈 수준의 참전명예수당을 받고 있다고 한다. 6.25 전사자들에 대한 보상금도 지난해 단돈 5천원이 지급돼 논란을 빚다가 중앙행정심판위원회의 결정으로 900여만원으로 간신히 올랐다. 또 지난 2002년의 제2연평해전 전사자 6명의 유가족들은 전사자 사망 보상금 2억원을 받지 못하고 3천만∼6천만원 규모의 ‘공상보상금’을 받는데 그쳤다.
국가는 군복무자들에게 그들의 희생에 상응하는 충분한 보상을 해야 한다. 군복무자들과 병역미필자들에 대한 국가 또는 사회의 대우가 별로 다를 것이 없다면 누가 병역의 의무를 다하려고 하겠는가. 호전적인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우리 군을 강군으로 만들려면 군인들을 존중하고 그들의 희생에 합당한 보상을 해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