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0 (일)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설]마을 기업, 더 지원해도 된다

경기도는 지난달 말일 남양주시 소재 ‘마을공방’, 고양시 소재 ‘주식회사 나는’, 여주군 소재 ‘새마을회’ 등 3개 시군 3개 마을기업을 추가로 최종 선정했다. 이렇게 해서 현재 경기도내 마을기업은 전국 최대 규모인 총 124개로 증가했다. ‘마을을 먹여 살리는 마을기업’(2011년/이매진 펴냄)을 쓴 정기석 씨는 ‘마을 기업’이란 말을 처음 만든 사람이라고 하는데 그는 ‘지역 공동체의 자원을 활용해 주민이 주도하는 사업을 벌여 안정된 소득을 얻고 일자리도 만드는 마을 단위 기업이 마을기업’이라고 설명한다.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파괴된 마을 공동체를 복원하거나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향토, 문화, 자연자원 등 지역의 각종 특화자원을 활용해 지역주민이 주체가 돼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일자리와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일 뿐 만 아니라 지역 복지의 빈틈을 메우는 구실도 한다. 특히 요즘처럼 경기침체가 오래도록 계속되고 있는 현실에서 필요한 사업이다. 경기침체가 장기화 되면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계층은 소득기반이 취약한 서민층과 노인들이다. 따라서 정부가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저소득층과 노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일이다. 물론 지금까지 공공근로 사업이란 게 있지만 지속성이 없는 미봉책이란 비판을 받고 있다. 지속가능한 경제활동기회를 제공하는 마을기업은 그래서 필요하다.

마을기업으로 선정되면 5천만 원 이내의 사업비와 경영컨설팅 및 교육, 판로 지원 등이 지원된다.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야 말로 절실한 복지고 민생구제다. 마을기업 활성화는 이래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마을기업이 활성화되고 확대된다면 지역 내에 있는 저소득 취약계층들이 더 이상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일자리를 창출해 냄으로써 생활이 안정된다. 또 지역의 인재와 자원을 활용,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마을기업은 외환위기 이후 정부가 전략적으로 발굴·육성하고 있는 정책이다. 그러나 마을기업은 의욕만으로 성공할 수 있는 사업이 아니다. 엄연한 기업이기 때문에 운영·관리 등 분야별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 기업논리와 사회복지 개념이 조화를 이루는 경영을 해야 한다. 따라서 관련 기업과 유통기관의 협력체계를 통해 도움을 줘야 한다. 이제 3년차에 접어든 마을기업은 아직 경영미숙, 조직 내 갈등 등의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좌초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지원, 전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마을기업으로 육성시키길 바란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