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설]물가대란 대비책이 급하다

국민스낵 새우깡 가격이 11.1%나 올랐다. 그 뒤를이어 라면값, 유류, 교통 전기, 맥주가격도 인상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서민생활에 직격탄을 안겨주는 물가인상이 고공행진을 거듭하면서 연말 대선을 앞두고 걷잡을수 없는 물가대란에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가고 있다.

더욱이 폭염과 농산물 가격상승이 일반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애그플레이션이 서민 가계에 심각한 부담을 주고 있다. 채소, 생선, 음료, 가공식품 등이 전방위로 올라 오르지 않은 먹거리를 찾기 어려울 정도다. 국제 곡물 가격의 폭등으로 연말이 다가올수록 식품 가격은 더 오를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폭염으로 농수산물값이 폭등한데다 그간 정부가 규제하던 가공식품 가격도 잇따라 올라 식탁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서울시 농수산물공사에 따르면 17일 기준 4㎏들이 시금치 중급 한 상자 가격은 한 주 전보다 44.9% 상승한 2만8천582원에 형성됐다. 상추 4㎏ 한 박스 가격도 지난주보다 37.8% 뛴 1만4천935원이었다. 이 같은 엽채류들은 이상 고온이 계속되자 잎이 시들며 직격탄을 맞았다. 수산물 값도 폭염에 따른 해파리 출몰로 정상적 조업이 이뤄지지 않아 크게 뛰었다. 생삼치는 어획량이 절반 가까이 줄며 산지 시세가 30% 상승했고, 병어도 수확량이 지난해의 50%로 떨어졌다.

식품 등 제품가격 인상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이르면 올해 하반기에 택시와 시외버스 요금도 크게 오를 전망이다. 요금 인상은 물가와 연료비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운수업계로선 불가피하지만 제품값과 전기료, 각종 요금 등의 인상 러시로 올해 하반기에서 내년 초 서민 물가 상승을 자극할 것으로 우려된다. 3년마다 인상되는 전국의 택시 요금이 이르면 올해 말에서 내년 초에 일제히 인상될 전망이다.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17일 기준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평균가격은 1천973.95원으로, 저점을 찍었던 7월16일 1천891원에서 한 달만에 80원 넘게 올랐다.

억눌려 있던 물가인상 요인이 연말 대선을 앞두고 한꺼번에 터져나오면서 대란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이처럼 생활물가가 전방위로 오르자 정부에서도 비상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지난 17일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관계부처들은 선제적으로 물가관리대책을 강구해서 서민생활 안정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정치권은 여야 모두 대통령 후보경선 레이스에 바쁘다. 서민생활을 보듬는 정책입안이 아쉽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