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개월째 여성의 취업 전망이 남성보다 부정적인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혼·출산 평균 연령이 높아져 과거같으면 일터로 돌아갈 수 있는 나이인 30대 후반까지 육아 부담을 짊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의 ‘8월 소비자동향조사(CSI)’ 관련 통계를 보면 여성의 취업기회전망CSI는 80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80)에 이어 2009년 4월(77) 이후 최저치다.
취업기회전망CSI는 취업할 기회에 대한 예상을 의미한다. 100 이상이면 취업 기회를 긍정적으로, 100 이하면 부정적으로 보는 것이다.
여성의 취업기회전망CSI는 금융위기 이후 계속해 남성보다 더 낮은 상태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2월에는 남성 전망치가 54, 여성이 55을 기록해 여성이 높았다. 그러나 이후 3년 반동안 여성의 전망치가 남성보다 높았던 적은 단 한차례도 없었다.
올해 8월도 남성(85)이 여성(80)보다 높았다. 올해 1월 남녀 모두 전망치가 83으로 같았던 경우를 제외하면 42개월째 남성의 취업전망이 여성보다 더 좋은 상태에 머물러 있는 셈이다.
한은 한 관계자는 “최근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났지만 아무래도 남자보다는 여자의 ‘취업의 문’이 심리적으로 더 좁게 느껴지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