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3년 전에 벌어져 근로자들과 국민들을 울분케 했던 쌍용차 사태가 재조명받고 있다. 그 당시 평택 쌍용자동차 공장 농성 진압에 투입됐던 전투경찰 출신의 한 청년이 쌍용차 해고 노동자에게 사과의 편지를 전달한 것이 알려지면서 잔잔한 여운을 남기고 있다. 쌍용차 범국민대책위원회는 지난 20일 행사에서 한 청년이 행사가 끝난 뒤 문기주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정비지회장에게 쪽지를 건넸다고 했다.
“정말 죄송합니다”라는 사과로 시작되는 이 쪽지에는 “저는 당신들과 맨 앞에서 대치한 전경이었습니다. 그 시위에서 가장 많이 다친 부대였기 때문에 당신들을 미워하고 증오했습니다. 제대를 하고 얕은 공부와 당신들의 진실을 통해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라고 적었다고 밝혔다.
2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는 쌍용차 문제에 관한 청문회가 열렸다. 이번 청문회는 대규모 정리해고와 이로 말미암은 파업의 후유증을 진단하고, 경찰 진압의 과잉 여부 등을 가려 3년 넘게 지속해온 쌍용차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려는 자리였다. 환경노동위가 여소야대라고는 해도 여당이 쌍용차 문제를 공론화하는 청문회 개최에 동의한 것은 박수를 받을 만하다. 청문회는 여러 명의 관련 증인을 불러 당시 상황을 듣고 의문점을 추궁하는 등 쌍용차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하는 데 일정한 성과를 거뒀다고 볼 수 있다.
쌍용차 사태는 2009년 초 중국 상하이차가 ‘먹튀 논란’ 속에 철수하고 나서 회사 측이 경영난을 구실로 전체 사원의 37%나 되는 2천646명을 정리해고 하겠다고 발표한 것이 발단이다. 노조는 77일간 옥쇄 파업을 벌였고 경찰은 이를 무력 진압했다. 이후 3년여 동안 해고 근로자와 그 가족 중 22명이 스트레스성 질환으로 사망하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부모는 물론 자녀까지도 극심한 고통 속에 놓여 있다고 한다. 이번 청문회에서 특히 이목을 끈 것은 2009년 파업 당시 경찰 진압의 폭력성 말고도 진압 자체의 정당성 문제가 제기됐다는 점이다.
쌍용차 사태는 한 회사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긴박한 경영상의 이유’를 내세워 대량 정리해고를 정당화하는 사례가 드물지 않은 게 엄연한 현실이다. 정리해고 요건을 강화하는 입법 노력이 요구되는 까닭이다. 최근 종교계도 쌍용차 사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섰다고 한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정치권의 역할이 중요하다. 청문회 개최도 그런 인식을 반영한 것이라고 본다. 쌍용차 사태 해결은 바로 사회통합의 시금석으로 여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