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대통령 선거가 지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의 ‘노무현-김정일 비공개 대화록’이나 정수장학회의 언론사 지분매각 추진 등 잇따른 돌발변수에 휩싸여 불안정한 대선 판세에 영향을 미치는 핫 이슈로 급부상하고 있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이 두 사안의 파괴력이 상당할 것으로 보고 국정조사 추진이나 국정감사 보이콧을 검토하는 등 당력을 집중하면서 정면 충돌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정상회담 당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의혹을, 민주당은 정수장학회의 언론사지분 매각을 통한 박 후보에 대한 지원 추진 의혹을 각각 제기하며 국정조사를 통한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문 후보는 지난 12일 “정문헌 의원 주장이 사실이라면 제가 책임지겠다. 사실이 아니라면 정 의원과 박 후보가 책임져야 한다“며 선제공격을 했고, 박 후보는 같은 날 ”이것은 제일 잘 아는 사람이 관계된 사람 아니겠느냐. 관련된 사람들이 관련된 사항에 대해 명백히 밝힐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받아쳤다.
정수장학회 언론사 지분매각 추진 논란도 커지고 있다.
민주당은 “박 후보를 돕기 위한 최필립 이사장과 김재철 MBC 사장의 검은 뒷거래가 드러났다”면서 “아울러 정수장학회가 부산일보 지분 매각대금을 부산·경남 선심성 복지사업에 쓰겠다는 것은 강탈한 장물인 정수장학회를 대선에 이용하겠다는 것”이라며 국정조사와 함께 두 사람의 국감증인 채택을 요구하고 나섰다.
새누리당은 박 후보와 정수장학회는 관계가 없고, 이번 사건 역시 정수장학회와 MBC 사이에 불거진 문제이지 박 후보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노무현-김정일 대화록 논란과 정수장학회 언론사 지분매각 문제는 현재 진행중인 국정감사에서도 계속 쟁점이 되고 있다.
특히 국정감사가 대선후보 검증무대로 변질된데다 상대 후보에 대한 폭로성 자료를 잇따라 제기하고 나서 사실상 거티브 대선전이 본격화된 양상으로 치닫고 있어 대선 판도에 미칠 영향력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