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망의 아침이 밝았다. 오늘 저녁 6~7시쯤이면 인천 송도신도시내 송도컨벤시아의 넓은 회의장은 환희 혹은 탄식의 소리로 가득찰 것이다. 그 시간 GCF(Green Climate Fund, 녹색기후기금) 연차회의에 참석한 24개 이사국들이 GCF 사무국을 어디에 둘 것인지를 결정한 투표결과가 나올 예정이기 때문이다.
유엔 산하기구인 GCF 사무국 유치전은 통상 ‘900조원 전쟁’으로 불리는데, 오는 2020년까지 8천억 달러(904조원)의 기금이 조성된다. 조성기금의 규모는 세계은행(WB)이나 국제통화기금(IMF)과 비견될 정도이고 여기에 각종 부수적 효과를 고려하면 GCF 사무국유치는 대선정국에 파묻혀서 그렇지 근래 보기드믄 초대형 국책사업이다. 현재 GCF 사무국 유치에 따른 예상 상주인구만 사무직원 500명 포함 1만명에 달한다. 결국 GCF 사무국 유치는 송도신도시가 그토록 열망했던 국제허브도시로 발돋움하는 것을 뜻한다.
전문가들은 GCF유치가 평창동계올림픽에 비해 100배 이상의 경제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점치고 있으며 보수적으로 산출된 계산으로 보더라도 연간 120회 이상의 국제회의로 4천억원의 현금이 풀릴 전망이다. 여기에 최근 송영길 인천시장이 김용 세계은행총재에게 제안한 세계은행 한국사무소의 송도유치가 가시화되면 인천의 도시가치 상승은 상상만해도 즐거워진다. 또 내년 출범을 앞두고 있는 ‘인천투자펀드’도 GCF유치가 확정되면 엄청난 돈이 몰릴 것이 분명해 인천은 제2의 상가포르 내지 홍콩으로 진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치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지난해 11월 인천시가 GCF 사무국 유치를 공식화하고 유치전에 뛰어들었을 때만해도 정부부처는 유치가능성을 낮게 보고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송영길 시장을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와 인천시민 등이 똘똘 뭉쳐 한걸음씩 전진하는 가운데 희망의 빛이 보이기 시작했다. 유치를 신청한 6개국중 유치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한국(인천), 독일, 스위스로 좁혀지면서 외국에서 인천의 유치가능성이 높게 평가되었던 것이다.
그러자 정부와 국회도 팔을 걷어 붙였다. 17일 송도를 찾은 이명박 대통령은 주요 이사국과 접촉을 갖고 GCF에 50억 달러 지원을 약속하는 등 전방위 외교전을 펼쳤다. 또 국회는 여야 만장일치로 GCF 사무국의 인천유치 지원을 결의했다.
이같은 거국적 지원에 위기의식을 느낀 선발주자들이 GCF사무국 입지결정을 내년 카타르 총회까지 미루자는 움직임을 보였으나 한국의 공세에 분쇄된 상황이다.
오늘 밤, 좋은 소식이 기다려진다.
/김진호 편집이사·인천편집경영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