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의 신축청사 평당 건축비가 경기지역 아파트 분양가와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이 예산정책처 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 땅값을 제외한 3.3㎡(1평)당 건축비는 부채가 5조3천억원에 이르는 한국농어촌공사가 881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국민은행이 발표한 현재 경기지역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땅값 포함)인 881만원과 동일하며, 농어촌공사가 이전할 나주지역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인 336만원보다 2.6배 높은 수치다.
부채비율이 104%에 달하는 한국소비자원의 건축비는 871만원으로, 이전하는 충북지역 아파트 분양가인 489만원의 2배에 육박했다.
부채가 1조원이 넘는 자산관리공사, 대한주택보증, 한국예탁결제원 등의 공공기관들의 건축비도 818만원으로 이전 지역인 부산남구 금융혁신도시 주변 아파트단지 3.3㎡당 분양가 시세를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전력공사와 전력거래소의 건축비 역시 각각 865만원, 861만원으로 도내 아파트 분양가 수준이었다.
이노근 의원은 “이들 공공기관의 건축비가 타 기관들보다 비싼 것은 통유리와 대리석 바닥, 비데, 조각상 등 값비싼 건축 재료를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경우, 3.3㎡당 건축비가 429만원으로 농어촌공사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462만원), 교통안전공단(511만원), 한국법제연구원(525만원), 한국인터넷진흥원(528만원), 한국고용정보원(558만원) 등의 건축비도 400만~500만원대에 불과했다.
특히 국립공원관리공단과 저작권위원회, 한국교통연구원 등의 공공기관들은 사옥임차비조차 자체부담이 어려워 정부에 지원을 요청한 상태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과 한국고용정보원은 자체 부담비도 없으면서 청사를 신축할 계획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의원은 “혁신도시에 입주하는 공공기관들의 건축비가 수도권 아파트 분양가와 같은 881만원에서 최저 429만원까지 2배 이상 차이가 나 형평성 논란과 함께 호화청사 비난까지 발생할 수 있다”며 “해당 주무부처의 합리적 조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