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서는 급식조리원을 포함해 총 2천800여 명의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가 총파업을 벌여 도내 212개 학교에서 9일 전면적으로 급식이 중단됐다. 급식을 중단한 학교 가운데 93곳은 단축 수업을 하고, 119곳은 학생들에게 점심도시락을 챙겨 등교토록 했다. 나머지 차질 학교 중 147곳은 학생들에게 빵과 우유 등 대체식품을 제공했으며, 27곳은 식단을 간소화한 것으로 도교육청은 파악하고 있다.
경기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이날 오전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교과부와 도교육청에 호봉제 도입, 교육공무직법 제정 등을 요구했다. 이날 파업 참석자들은 연두색과 분홍색 등 노조별 색을 맞춘 조끼를 입고 ‘20년을 참아왔다. 학교에서의 차별을 멈추게 하라’, ‘연봉제 폐지, 호봉제 시행’ 등의 피켓을 들고 ‘비정규직 철폐’, ‘정규직화 쟁취’ 등 구호를 외쳤다.
연대회의는 교육과학기술부와 도교육청에 호봉제 도입, 교육공무직 특별법 통과, 전 직종 학교비정규직에 대한 교육감 직고용, 2012년 임금·단체 협상안 전면 수용, 정원기준 하향 조정 등을 요구했다. 급식조리원을 비롯한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파업을 벌이는 것은 처음이라고 한다. 더 걱정스러운 것은 2차 총파업을 예고했다는 점이다. 연대회의는 이날 1차 파업을 시작으로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요구가 수용될 때까지 파업을 불사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도내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는 3만4천99명이며, 이 가운데 47.9%인 1만6천346명이 영양사와 조리사, 조리실무사, 배식보조원 등 학교 급식 업무 종사자다.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 중 8천여 명이 노조에 가입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듯 학교급식 대란이 벌어지기 전까지 관계기관은 어떠한 노력을 해왔는지 묻고 싶다. 도교육청은 “도내 비정규직 근로자들과 호봉제 도입, 수당 신설 등을 놓고 8차례 본 교섭과 예비교섭을 진행했으나 예산상 문제 등으로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며 “그러나 근로자들과 지속적으로 대화하고 소통하며 원만하게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총파업이 예고된 상황이었던 만큼 급식 차질이 자칫 현실화할 수 있는 데도 이를 사실상 내버려둬 온 셈이라는 비난을 살만하다는 것이다. 물론 교육 당국으로서도 노조 측과 대화를 통해 합의를 이끌어내고자 애쓴 흔적이 엿보인다. 어떻든 학생들이 결과적으로 노사 문제를 둘러싼 대립과 갈등의 볼모가 되는 양상이 빚어지지 않도록 대화와 타협으로 원만한 해결책을 마련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