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설]수원월드컵경기장 운영권이 문제

수원이 2002년 한일월드컵 경기를 치르기 위한 경기장을 건설하려고 할 무렵인 1996년 7월 삼성은 월드컵경기장을 건립한 뒤 20년 사용 후 수원시에 기부하겠다는 약속을 했다. 그러나 삼성은 IMF를 이유로 1998년 4월 일방적인 파기를 시에 전달해 왔다. 이 때문에 수원시민과 경기도민들이 나머지 공정에 들어가는 비용을 걷어 부담하게 됐다. 특히 수원시민들은 당시 심재덕 시장의 아이디어로 월드컵구장 ‘1인 1의자 갖기 운동’을 펼치는 등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렇긴 해도 총 건설비 3천107억1천400만 원이라는 막대한 재원을 수원시 혼자 감당할 수가 없었다. 월드컵은 열려야 하고, 결국 경기도가 나설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건설된 ‘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이하 수원월드컵경기장)의 지분은 도와 수원시가 6:4의 비율로 나눠 갖게 된다. 이 지분비율을 근거로 설립된 월드컵관리재단의 이사장은 도지사, 부이사장은 수원시장이 맡고 있다. 이사회도 도가 당연직 4명 등 총 10명, 시가 당연직 3명 등 총 5명이다. 이사회는 월드컵관리재단의 정관은 물론 경기장 시설사용규정 등에도 경기장 임대 등 수익사업의 의결을 한다. 그러므로 월드컵경기장은 사실상 도가 운영 결정권을 갖고 있다고 봐도 된다. 이처럼 수원시의 힘은 미약하다.

본보는 13일자(23면) 기사를 통해 ‘프로야구 10구단 수원 유치를 위한 각종 혜택과 관련해 기존의 수원연고 프로구단인 삼성블루윙즈와의 차별 논란이 제기된 가운데 경기도와 수원시가 나눠가진 수원월드컵경기장 관리·운영권이 문제의 발단이 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수원삼성블루윙즈의 불만을 충분히 이해하면서도 ‘프로축구단과 팬들의 입장을 알고 있어 조정을 해주고 싶어도 의사결정권이 없다’며 난감하다는 수원시의 입장을 소개했다. 경기장 이름에만 ‘수원’이 있다는 자조 섞인 푸념도 곁들였다.

수원시의 억울함이 이해된다. 지금 많은 언론들이 프로야구단 창단을 선언한 KT와 프로축구 수원삼성블루윙즈와의 형평성 문제를 질타하고 있는 현실에서 가장 곤혹스러워하는 사람은 염태영 시장이다. 그로서는 수원월드컵경기장 관리·운영권을 가져오고 싶겠지만 계약은 계약이므로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어쨌거나 분노한 축구팬들을 달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월드컵경기장을 수원블루윙즈에 장기 임대하는 것이다. 도와 수원시, 특히 도는 지분에 연연하지 말고 하루빨리 수원시와 의견을 모아 문제를 해결해 나가길 바란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