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가 18일 만나 합의한 내용을 보면 경제민주화, 일자리, 복지, 남북문제, 정치개혁 등 5대 국정 현안에 대한 여·야·정 국정협의회 상설화, 국무총리의 장관 인사제청권 및 해임건의권 보장, 대통령의 권력형 인사개입 불용인 등이다. 또 대검 중수부 폐지, 국회의원 영리목적 겸직 금지, 의원 연금 폐지,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세비심의회 설치’ 등 국회의원 기득권 축소도 추진키로 했다는 내용이다.
대통령 선거에 누가 출마할 것이냐를 가리자는 단일화 합의안보다는 정권을 잡은 후 정권을 어떻게 나눠 운영할 것인가를 포괄적으로 합의한 듯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사정이 이러니 새누리당이 야권후보 단일화를 놓고 두 후보 간에 정권을 나누는 야합이라고 꼬집고 있는 것이 아닌가. 문재인-안철수 두 후보는 지난 6일 대선후보 등록일(25~26일) 이전에 단일화를 이루겠다고 합의했다. 그러나 단일화 협의 중단 등 초강수를 던졌던 안 후보 측의 단일화에 임하는 속사정이 녹록치 않은 것처럼 보인다. 대선후보 등록일까지는 이제 1주일밖에 남지 않았다. 단일후보를 확정하는 방식에는 접근하지 못한 채 두 후보 모두 정권장악 후 국정운영에 대한 밑그림만 그리고 있다는 인상을 풍기고 있다.
답답한 것은 국민이다.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는 다음달 19일까지 한 달도 남지 않았는데 야권이 후보조차 확정하지 못한 채 대선분위기가 후보단일화에 함몰되면서 정책선거는 애초부터 물 건너간 형국이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18일에도 중산층 재건 프로젝트 10대 공약을 발표했지만 야권의 두 후보 회동에 밀리고 있다.
안철수씨가 유력 대권 후보로 떠오른 건 벌써 1년도 넘은 일이다. 문재인씨 역시 일찌감치 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됐는데 왜 후보 등록 일주일을 남겨둔 시점까지 온 국민과 정치권이 야권 후보 단일화에 목을 매다시피 해야 하는지 착잡하다. 이제 와서 투표시간 연장을 위한 법개정 운운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말 두 후보의 단일화 의지가 확고하다면 더 이상 다투는 모습을 보이지 말고 하루빨리 단일화를 이뤄내길 바란다.
야권의 후보단일화 기싸움이 지속되면서 정작 중요한 후보 간 정책검증을 제대로 하지 못해 유권자가 답답해하고 있다. 후보들 간의 TV토론조차 제공되지 않았다. 후보 간에 하루가 멀다 하고 공약이 발표되고 있지만 어느 후보의 공약이 우리 실정에 맞아 떨어지는지 따져볼 겨를조차 없다. 후보 선택의 기본인 후보자들의 자질과 정책검증이 하루 빨리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