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파주시민들을 크게 실망시킨 사건이 있었다. 이화여대 파주캠퍼스 유치가 무산된 일이다. 대학교 부지 매입을 놓고 대학 측과 국방부가 팽팽히 맞서면서 대학유치를 추진 중인 도와 파주시가 전전긍긍하다가 결국 불발되면서 지역주민들의 기대를 앗아간 것이다. 이대는 파주시 월롱면 영태리 캠프 에드워드 21만9천여㎡의 매입 가격으로 감정평가액인 652억 원을 요구했지만 국방부는 1천750억 원을 요구함으로써 협상이 결렬됐다. 도는 그동안 국내 유수 대학의 유치를 추진해 왔다. 그러나 대학 유치사업은 토지보상 문제와 사업예산 부족 등으로 차질을 빚고 있다. 그렇다면 경기도는 왜 대학유치에 목을 맬까?
이는 대학유치로 얻어지는 지역의 시너지 효과 때문이다. 경기도 9개 시·군에서 현재 추진 중인 13개 대학 유치가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연간 1조2천385억 원의 소득창출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경기개발연구원 김태경 연구위원은 ‘지역 교육연수 증가는 연간 697억 원의 GRDP 상승을 유발하고 경기도 1만284명 포함 전국 1만1천71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가 발표한 ‘대학유치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은 현재 경기도 북부 6개, 남부 3개 등 9개 시에서 추진 중인 13개 대학 유치가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발생할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관심을 끈다.
현재 대학캠퍼스 유치관련 MOU가 속속 체결되고 있는데 이는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이 제정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기북부 미군 공여지를 중심으로 서울에 본교를 둔 서울대, 서강대, 동국대 등과 비수도권의 중부대, 을지대 등 총 13개 대학이 경기도로 이전을 추진 중이다. 현재 유치가 추진 중인 13개 대학의 총 정원은 6만5천696명이다. 김 연구위원은 경기도 대학생 정원 1명에 의해 연간 창출되는 소득효과는 1천885만 원으로, 유치가 성공할 경우 총 1조2천385억 원의 소득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한다.
뿐만 아니라 경기도 1만284명의 고용을 창출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관광산업처럼 ‘굴뚝 없는 고부가가치의 황금산업’인 셈이다. 교육산업은 메리트가 있다. 그러나 김 연구위원은 ‘경기도와 각 시·군은 파주 이화여대 유치 실패를 교훈삼아 무분별한 실적위주의 대학유치를 지양하고 내실 있는 대학유치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충고한다. 그렇다. 대학유치는 자치단체장이 업적사업으로 추진할 것이 아니라 100년 대계 장기 교육사업으로 접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