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도시공사가 지난 22일 상수도 검침원 26명에 대한 계약을 해지하자 공사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가 나섰다.
안산도시공사 비정규직노동조합과 안산경실련, 안산여성노동자회, 안산·시흥 비정규노동센터, 진보 정당 등 22개 노동·시민·사회단체는 지난 28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산시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눈물을 외면하지 말고 비정규직 검침원의 정규직 전환이 어렵다면 무기계약직으로라도 바꿔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해고된 검침원들은 지난해 3월 위탁 1기로 뽑혀 일을 시작할 때만해도 교육담당 공무원들이 ‘계속 일할 수 있다’고 해 열심히 일했다”며 “김철민 시장도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정규직 전환을 약속하고 당선됐기에 그들에게 지난 20개월은 힘들지만 희망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그러나 2년이 채 안된 지금 검침원들의 무기계약직 전환 요구에 ‘예산문제만 해결되면 해 주겠다’고 예산타령을 하며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있는 공사가 지난해에는 전국 공기업 중에서 가장 많은 성과급(직원 1인당 896만원) 잔치를 벌였다”고 꼬집었다.
또 “2010년 지방선거에서 공공부문 비정규직근로자의 단계적인 정규직 전환으로 신분과 생활 안정을 보장하겠다고 약속한 김철민 시장은 2010년 2명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이후 단 한명도 전환하지 않아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진정성을 의심케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생존의 나락으로 떨어진 공사 해고노동자들의 문제 해결을 위해 김 시장은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던 시민과의 약속을 이행하고, 시와 공사, 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할 것 등을 요구했다.
앞서 공사는 지난해 1월 시에서 하던 상수도 검침업무를 대행하면서 검침원 30명을 3개월, 5개월, 12개월 단위로 채용했다가 지난 22일 계약만료를 사유로 26명을 계약해지했다.
이 과정에서 검침원들은 지난달 12일 안산도시공사비정규직노동조합을 설립해 비정규직의 무기직 전환 등을 요구하며 공사에 단체교섭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