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근당의고전]老馬之智(노마지지)

늙은 말은 길을 안다

 

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라도 저마다 장기나 장점을 지니고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중국 제나라 관중이 전쟁 통에 길을 잃고 지름길로 헤매었을 때 늙은 말을 풀어놓아 길을 찾고는 그 지혜를 칭찬한 데서 유래한 말이다.

그만큼 늙은 말은 많은 경험을 통해 지혜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관중은 그때, 이런 때는 늙은 말의 지혜가 필요하다(老馬之智可用也)라 하여 곧 늙은 말 한 마리를 풀어 놓았다. 그리고 전군(全軍)이 말의 뒤를 따라 행군한 지 얼마 안 되어 큰길이 나타났다(乃放老馬而隨之修得道行).

다음에 또 산길을 지나다가 식수가 떨어져 전군이 갈증에 시달릴 때 습붕이란 이가 말했다. 개미란 원래 여름엔 산 북쪽에 집을 짓지만 겨울엔 따뜻한 산 남쪽에 집을 짓는다. 흙이 한 치 남짓 쌓인 개미집이 있으면 그 땅속 일곱 자쯤 되는 곳에 물이 있는 법이라 하였다. 실제 파내려가니 물이 솟았다. 그래서 한비자는 관중의 총명과 습붕의 지혜를 스승으로 삼아 배웠다고 하여 노마식도 노마지도(老馬識道 老馬知道)라는 말이 되었다.

두보의 시 한 수 가운데 이런 구절이 있다. 古來存老馬 不必取長途(고래존노마 불필취장도)다. 예부터 늙은 말을 놔두는 것은 반드시 먼 길을 끌고 나가기 위해서만은 아니다.

동물이지만 지혜 있으니 사람보다도 더 아끼려는 마음을 노래한 것이 아닌가 한다. 그러니까 필요해서 부려먹기 위한 것이 아님을 비유한 것이다.

/근당 梁澤東(한국서예박물관장)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