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오산시가 추진중인 학교통학버스 노선과 현 운행중인 마을버스 노선이 불법유턴을 부추겨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본보 4·5일자 8면 보도)하고 있는 가운데 오산시의 대중교통심의위원회가 교통전문가 아닌 대부분 지역 특정인물들로 구성돼 있어 실효성 논란과 함께 탁상행정이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7일 오산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1년도 말 대중교통심의위원회를 발족하고 버스노선이나 운송계획 등 산재돼 있는 교통문제를 심의·의결하고 있다.
하지만 심의위원의 구성을 살펴보면 심의위원 총 17명중 교통전문위원은 6명에 불과하고 나머지 11명은 시민대표나 시 관계자 및 시의원들이다.
특히 시민대표 6명은 대부분 각 동의 통장이나 주민자치위원들로 구성돼 있어 심의자체가 형평성에 어긋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교통전문가들보다 시민대표들로 구성된 일반위원들의 입김이 크게 작용하면서 각 지역의 교통현안문제를 제기하고 있어 본질에서 벗어난 심의가 계속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교통전문가 인원을 늘려 교통심의에 대한 전문성과 투명성을 갖춰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일각에서도 교통정책 심의 전문위원 현 인원으로는 권고안을 수행하기 어려운 만큼 시민대표를 제외시키고 전문위원을 더 확보해 교통계획을 단계적으로 세워 추진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한 버스회사 관계자는 “오산시가 지금까지 3차례의 교통심의위원회를 개최하면서 회사들이 주장하는 의견들이 대부분 묵살되고 있다”며 “교통전문가보다 시민대표 등이 심의를 좌지우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대부분 안건에 대해 전문 의원들의 의견들을 수립해 반영하고 있어 큰 문제는 없다”고 일축한 뒤, “위원회 구성이 얼마 안된 만큼 개선할 사항도 있다”며 “버스노선과 도로의 신호체제 등을 개선해 교통문제로 시민들이 불편함이 없도록 공정한 심의를 통해 해결해 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