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임시국회가 8일 개막해 이달 말까지 열린다. 이번 임시국회는 북한의 도발 위협이 심화되는데다 경제 상황마저 악화하고 있는 시점에 열리는 것이다. 그 어느 때보다 국민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이런 관심을 의식해 국민의 생활에 보탬이 되도록 시급한 현안을 처리하는 ‘민생 국회’를 가동하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여야가 이번 국회에서 다뤄야 할 법안도 적게는 60건, 많게는 80건에 이른다. 특히 ‘4·1 부동산 활성화 대책’과 추가경정 예산 편성은 하루빨리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다뤄야 할 시급한 민생 현안이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도 최고위원회의에서 “4월 임시국회는 민생안정과 국민과의 약속 실천을 위한 중요한 국회”라면서 “여야 간에 다소 이견이 있지만 4·11 부동산 활성화 대책과 추경예산에 대한 논의를 잘 마침으로써 새 정부가 민생안정과 국가 위기 극복에 전념할 수 있도록 협조해야 한다”고 여야 대표회담을 제안했다. 민주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적극 화답해 정파를 떠나 민생을 챙기고 위기극복에 일사불란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를 바란다. 같은 당 박기춘 원내대표도 그제 “선택과 집중을 통해 국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4월 국회를 운영하겠다”고 했다.
문제는 추경 예산 편성과 관련해 새누리당은 경제에 온기를 불어넣기 위해서는 국채발행을 통해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에 민주당은 재정건전성 악화를 이유로 부자 증세를 검토하고 있다. 부동산 대책에 포함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세 폐지, 양도세 5년 감면에 대해서도 여야는 이견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4·24 재·보궐선거, 5월로 예정된 새누리당의 원내대표 선거와 민주당의 전당대회 등을 앞두고 ‘표(票)’를 의식한 여야 간의 치열한 기세싸움이 예상되고 있는 점도 ‘민생 국회’의 걸림돌이 될 개연성이 크다.
여야는 중차대한 안보·경제 위기를 외면한 채 정치공학적 계산을 앞세워 민생을 볼모로 정쟁을 벌이는 구태를 재연해선 안 된다. 안보와 경제 위기에 따른 국민의 불안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데도 당리당략만 앞세워서도 안 된다. 국민의 우려를 씻어주고 불안을 덜어주는 데 여야 정치권이 한 마음으로 머리를 맞대야 한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국민들의 삶에 도움을 줄 현실성 있는 대책을 적시에 내놓아야 한다. 이런 노력을 통해 국회는 민생을 보살피는 본연의 임무에 충실해야 한다. 여야의 다짐대로 ‘민생 국회’의 전형을 이번 4월 국회에서 볼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