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화성시의 조직개편안이 주먹구구식 논란(본보 26일자 9면보도)을 빚고 있는 것과 관련, 시의원들이 이번 개편안이 적절하지 못하다는 의견을 전한 것으로 알려져 조직개편에 난항이 예고된다.
28일 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26일 시의회는 긴급 의원 총회를 갖고 시가 입법예고한 자치법규안을 논의, 의견을 전달했다.
앞서 시는 총액인건비 확정에 따라 행정기구와 사무를 조정하고자 1국 3과 신설, 4개과 통합 등의 내용을 담은 자치법규안을 입법예고 했다.
그러나 폐지된 부서가 2년만에 부활하고 신설된 과가 1년 만에 통폐합 되는 등 일관성과 연속성이 없어 행정에 혼란을 야기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날 의원 총회에서도 이번 개편안을 두고 조직의 생태를 고려하지 못한 졸속 안건이라는 것에 다수의 의원들이 공감하는 분위기가 연출돼 향후 자치법규안 통과에 집행부와의 마찰이 우려된다.
한 시의원은 “조직의 연속성을 고려하지 않은 잦은 조직 개편은 공직 내부의 혼란과 시민들의 행정 신뢰도 하락을 부추키는 것”이라며 “정치적 논리가 아닌 시의 발전 정도와 주요 역점 사업 등을 고려, 시민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조직 개편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특히 시의회가 이번 조직 개편을 놓고 가장 반대한 부분은 행정기획국으로 이름을 바꾸는 자치행정국 산하에 기존의 재정법무·기획예산 담당관이 통합된 기획예산과가 자리한다는 것.
이미 시정의 중요 부분을 차치하는 인사 담당 부서가 있는 자치행정국에 또다시 비중있는 예산과 기획 담당 부서가 들어간다는 것은 자치행정국의 힘만 키워주는 특혜 조치라는 것이 시의회의 입장이다.
또 도시상임기획단과 동부출장소 위생지도계 존치여부에 대해서도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며, 의원들이 지적한 조직개편안을 다음달 6일까지 다시 조정해 의회와 협의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시 담당자는 “현재는 입법예고 기간으로 아직 자치법규안이 시행된 것은 아니다”라며 “시의회의 의견을 수렴, 내부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