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문화재단이 인사채용을 둘러싼 심각한 공정성 논란에 휩싸였다. 군포시의회가 문제점이 드러난 합격자들에 대해 임용 취소 등을 군포시에 요구했으나, 시가 이를 정면 거부하면서 시의회가 급기야 감사원 감사를 청구하겠다고 나섰다. 그동안 기초자치단체가 설립한 문화재단을 둘러싸고 여러 가지 뒷소문이 나돈 적은 있지만, 이 같은 정면대결이 벌어진 것은 처음이다. 시작부터 심하게 삐걱대는 문화재단이 지역 문화예술 진흥과 기반 확충이라는 본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 심히 우려된다.
군포문화재단은 지난 3월 출범 직전부터 잡음이 무성했다.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해서 경력직들을 시장의 사람들로 채웠다는 것이다. 간부직인 본부장급 3명을 포함한 경력직 16명 가운데 시장의 선거 캠프와 직간접으로 관련된 인사가 많았기 때문이다. 선거대책본부장, 공보물 제작 기획사 대표, 캠프 전산담당자 등 관련자 다수가 문화재단에 자리를 잡은 탓이다. 이에 따라 시의회는 전체 시의원 9명 가운데 7명으로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3~5월에 걸쳐 집중조사를 벌였다. 여야를 아우른 특위는 조사 결과 합격 직원 16명 가운데 11명이 자격 등에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특위는 11명 가운데 9명의 임용을 취소하고, 2명은 재조사 뒤 조치할 것을 시에 요구했다.
그러나 시는 7월30일 이들 모두 문제가 없으므로 수용할 수 없다고 정면으로 거부했다. 어느 쪽의 말이 맞는지는 알 수 없으나, 그간 드러난 상황을 종합해 보면 시의 해명보다 시의회의 조사 내용이 더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우선 시는 과장급 3명으로 1차 서류전형 심사관을 구성했다. 이들 3명은 시장이 선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2차 면접도 과장급 2명과 외부인사 1명으로 진행했다.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하기 딱 좋은 구조다. 더구나 문화예술분야는 관련 경력을 정확히 입증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당 경력에 상당하는 자격과 능력을 갖춘 인물을 선발할 수 있다는 예외 규정이 있다. ‘시장 측근’들은 바로 이 규정에 의거해 합격 판정을 받았다.
군포 이외의 문화재단이 설립되는 과정에서도 자치단체장의 측근이 상당수 요직을 차지한 경우가 적지 않다. 문제는 이런 관행으로 인해 기초문화재단들이 제 구실을 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낙하산’들이 지역 문화예술진흥이라는 본디 목적보다 단체장 의중에 따라 문화재단을 쥐락펴락하기 때문이다. 군포시문화재단이 이런 관행의 연장인지 아닌지는 감사원 감사를 통해 드러날 터이다. 만약 시가 억울하다면 지금이라도 납득할 수 있는 해명을 시민들에게 내놓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