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경기도교육청이 2학기부터 시행하는 ‘친환경식자재 공동구매’에 대한 소규모 식자재 납품업체들의 반발과 함께 학교급식센터를 둘러싼 농협 밀어주기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본보 8월 5일·26일 1면 보도) 도내 25개 지역교육청 중 9월부터 ‘친환경식자재 공동구매’를 실시하는 10개 교육청 가운데 8곳에서 입찰이 유찰된 것으로 나타나 식자재 공급에 차질이 생기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26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지난해 3개 지역교육청에서 시범 실시한 학교급식 식자재 공동구매를 올해 2학기부터 고양을 제외한 도내 전역에서 각 지역교육청 주관의 ‘친환경식자재 공동구매’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오는 9월 1일부터 공동구매를 실시하는 도내 10개 지역교육청은 지난 7월부터 공급업체 선정을 위한 공개입찰을 진행했지만 수원과 김포를 제외한 8곳은 최초 공고와 재공고에 단 한 곳도 응찰하지 않거나 단독 업체 응찰에 그치면서 경쟁입찰에 의한 업체 선정이 무산됐다.
당초 계획과 달리 공동구매 식자재를 활용한 급식공급을 채 일주일도 남기지 않은 상태에서 대부분의 지역이 경쟁입찰에 의한 업체 선정에 실패하면서 당장 급식에 차질을 빚는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더욱이 의정부 등 7개 지역교육청도 10월부터 공동구매 식자재 공급을 추진 중이지만 최초 공고가 대부분 유찰, 사실상 재공고 준비에 나선 상태여서 이같은 우려가 또 다시 재연될 것이라는 지적마저 나온다.
A지역교육청 관계자는 “10월에 공동구매 급식을 시작하는데 1차 공고에 응찰업체가 한곳도 없어 사실상 유찰될 것으로 보여 재공고를 준비중”이라며 “이대로 가다가는 재공고도 유찰될 것으로 보여 사실상 수의계약이 불가피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여러 지역교육청에서 공개입찰이 유찰된 것은 기존 식자재 유통업체들이 입찰에 참여하지 않아 벌어진 일로 파악하고 있다”며 “까다로운 품질기준 때문에 응찰률이 저조하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번 공동구매는 품질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조정이 어렵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