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자체 복지분야 사업 예산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함께 이미 시행 중인 사업이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했다.
26일 시에 따르면 대안 마련은 최근 사회복지정책 추진과 관련한 재원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치단체가 늘어나는 상황을 극복코자 추진됐다.
이에 시는 정부 3.0정책 기조에 맞춰 전국 최초로 추진하는 통합 복지포털 ‘행복나눔 인천’ 시스템을 활용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사회복지 서비스 사전 예고제’를 시행한다.
따라서 각 부서에서 지원하는 복지 사업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11월부터 시범운영하는 통합 복지포털 ‘행복나눔 인천’ 시스템에 연결하고 인천N방송과도 연계해 홍보할 계획이다.
이는 임신, 출산에서 노령화까지 생애주기별로 시민 개개인이 받아야 하는 복지서비스의 내용을 사전에 안내해 주는 것이다.
안내는 e메일, 문자서비스, 모바일 웹 등을 활용해 일반 시민 및 서비스 수요 대상자에게 안내해 관련 정보를 몰라, 서비스 기회를 잃어버리는 일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또 시 전체 사회복지 예산에 대한 정확한 분석으로 중복 투자 및 지원에 의한 재원 손실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사업 운용에 내실을 기함으로써 부족 재원에 대한 증액에 앞서 투자 우선 순위를 정하는 데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다른 자치단체의 차별화된 특색 사업을 비교·분석해 인천시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역사업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인천시 올해 전체 예산액(일반·특별회계 포함) 8조4천849억원 중 사회복지예산은 총 458개 사업에 1조6천833억원(19.8%)이다. 이중 행정 운영비 및 재무비용을 제외하면 순수 복지분야예산은 167개 사업에 1조3천151억원이다.
또 여성·가족분야 4천375억원(33.3%), 노인분야 2천929억원(22.3%), 저소득분야 2천904억원(22.1%)의 순으로 무상보육과 노인 관련 사업에 투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