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물가인상, 두고만 볼 건가

새해가 시작되자마자 물가 오름세 현상이 심상치 않다. 이러다가는 가뜩이나 주름진 서민 경제에 타격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각종 공공요금이 오르거나 인상 대기 중이고 우유, 빵, 식음료 가격도 마찬가지다. 전기요금이 지난해 11월 평균 5.4% 오른 데 이어 도시가스 요금마저 1일부터 평균 5.8% 인상됐다. LPG 가격도 오른다. 우체국 택배 요금도 500~1천500원 인상될 전망이다. 수자원공사도 상수도요금을 올릴 태세다. 공공요금이 고삐 풀린 망아지처럼 들먹거린다.

공공요금 인상에는 불가피한 측면도 없지 않다. 우체국 택배(소포) 요금의 경우 우편물 감소 등으로 인한 우편사업 적자를 메우기 위한 조치로 2005년 1월 이후 9년 만의 요금 인상이기는 하다. 파업 사상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철도 파업 사태를 겪었던 코레일도 여론의 눈치를 보며 철도요금 5% 인상 카드를 언제 내밀지 고민하고 있다. 문제는 공공 물가나 대중교통 요금 등의 인상은 덩달아 다른 물가 인상까지 주도하는 경우가 많다. 이미 식품과 음료 우유가격은 지난해 기습적으로 인상했다. 최근에는 해가 바뀌면서 경기도내 곳곳에서 목욕요금과 미용실, 사우나, 세차 등등의 요금을 10~20% 슬며시 올려 받고 있다.

이러다가는 20일 앞으로 다가온 설 명절 장바구니 물가는 어떠할지 벌써부터 걱정이 앞선다. 특히 그동안 물가동향을 살펴보면 해마다 연간 상승률의 절반을 1·4분기가 잠식해 왔다. 정부와 자치단체가 새해가 되기 무섭게 뛰는 물가를 잡겠다고 공언하지만 아직 설날이 남아있어 그런지 아무런 얘기가 없다. 지금 고삐를 잡지 못하면 지방선거를 앞둔 행정 공백을 틈타서 요금을 줄줄이 올릴 수도 있다. 1월은 1년 중 물가안정의 열쇠가 되기에 더욱 그렇다. 게다가 국제 원유가와 세계 곡물가 인상 등 대외적으로 물가 인상을 촉발하는 악재가 줄줄이 대기하고 있는 형국이다.

그래서 국내는 물론 세계 여러 나라들도 긴축으로 고삐를 죄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자마자 시작한 것이 민생 챙기기의 일환인 물가안정이었다. 한 여론조사기관의 조사에서도 민생문제 해결책으로 ‘물가안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43.7%로 가장 많았다고 한다. 물가를 잡는 게 서민 생계를 돕는 길이나 다름없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공요금 인상 억제 등 가능한 수단을 다 동원하지 않으면 물가잡기는 공염불에 그친다. 연초부터 뛰는 물가를 관리하고 단속하는 것이 서민경제를 보호하는 지름길이다. 창조경제보다 더 시급하고 피부에 와 닿는 일이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