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속단하긴 이르겠지만 남북관계 개선 조짐을 보이는 낭보가 지난 5일 전해졌다. 남북적십자 대표단이 오는 20일부터 25일까지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갖기로 합의한 것이다. 상봉 인원이 고작 남85명 북94명이어서 아쉽긴 하지만 이를 계기로 상봉행사 후 재접촉을 갖고 인도적 문제를 계속 논의키로 했다니 지켜볼 일이다. 또 하나 통일을 바라는 국민들의 기대감을 높이는 소식이 있다. 지난 6일 오전 국방부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한 통일부의 ‘한반도 통일시대 기반 구축을 위한 2014년 통일부 업무’ 보고가 그것이다.
이 보고에 의하면 민간교류를 확대해 남북 동질성을 회복하고 DMZ 세계 평화 공원 조성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또 가칭 ‘행복통장’ 제도를 도입해 북한 탈출주민들의 자립기반을 마련한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나진·하산 물류사업 지원을 시작으로 남-북-러 물류 활성화 방안도 마련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개성공단의 제도를 개선하고 호혜적인 경제협력도 추진하는 것을 검토하기로 했다. 남북 모두에게 이익이 되고 동질성 회복에 기여하는 방향에서 남북교류를 추진하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가동하는 등 통일기반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북한과의 합의가 선행돼야겠지만 DMZ에 세계평화공원을 조성하는 것은 휴전선의 긴장을 완화하고 반전·평화 분위기를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북한 주민 생활 향상을 위한 농축산, 산림협력을 추진하고 취약계층 대상 인도적 지원을 강화하는 등 대북 지원·교류를 확대하는 것은 남북 간의 냉기를 녹이고 화해분위기를 형성해 통일을 앞당기게 할 것이다. 문화재와 예술품 공동 전시, 유적 공동 발굴 등도 남북의 상호 이해를 높이는 사업이다. 10월 마지막 주를 ‘통일문화주간’으로 정해 통일문화 행사들을 열겠다는 것도 괜찮은 발상이다.
특히 법·제도적 틀 내에서 ‘나진-하산 물류사업’에 안정적인 지원방안을 강구하는 등 적극 추진키로 한 것은 아주 잘한 일이다. 이를 통해 부산-나진-러시아로 이어지는 남-북-러 물류 활성화 방안도 기대된다. 그러나 모든 남북관련 사업의 전제조건은 남북관계의 획기적 개선 등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통일의 가치는 돈으로 계산할 수 없는 엄청난 것”이라며 “통일시대를 열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 데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둬야 하겠다”고 밝혔듯이 올해는 통일을 위한 모든 노력을 집중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