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3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때는 바야흐로 1936년 8월9일이었다.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에 모여든 12만여명의 시선은 한 곳에 집중해 있었다. 그들의 관심사는 오직 하나. ‘누가 첫 번째 주자로 스타디움에 들어올 것인가’였다. 그 가운데 히틀러도 있었다. 그의 뇌리에는 오직 한 생각뿐이었다. 아리아인이 결승점에 처음으로 나타나 그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려야 한다는, 스포츠에 정치를 접목시킨 발칙한 상상력이었다. 그래야 나치의 정당성이 생기므로. 동서를 막론하고 독재자들은 스포츠를 정치에 이용한다는 공통점을 지니나보다.

그러나 그의 기대는 인어공주의 그것처럼 물거품이 된다. 처음 모습을 보인 것은 아리아인도, 나치독일의 동맹국인 일본인도 아닌 식민지 조선의 손기정(孫基禎) 선수였다.

당시 장내 아나운서는 손 선수가 일본 출신이 아닌 조선인이라는 것을 정확히 알고 있었다. 독일역사박물관(DHM) 독일방송기록보관실(DRA) 자료에 따르면 당시 그는 이렇게 멘트했다.

“(당시) 조선의 대학생(koreanischer Student)이 세계의 건각들을 가볍게 물리쳤습니다. 조선인(der Koreaner)은 아시아의 힘과 에너지로 뛰었습니다. 타는 듯한 태양의 열기를 뚫고, 거리의 딱딱한 돌 위를 지나 뛰었습니다. 그가 이제 트랙의 마지막 직선코스를 달리고 있습니다. 우승자 ‘손’이 막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습니다.”

일본 국적에 ‘손기테이’라는 이상한 이름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긴 했지만 그가 ‘조선인(Koreaner)’이라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인간의 한계로 여겨졌던 2시간30분 벽을 깬 2시간29분 19초2의 신기록은 나치마저 감동시켰다. 히틀러조차 그에게 악수를 청했고 히틀러를 위해 인종주의적인 다큐멘터리 ‘올림피아’를 제작하던 독일 여류 영화감독 레니 리펜슈탈은 3시간짜리 다큐멘터리 중 10분 이상을 손 선수가 달리는 모습으로 채웠으니 말이다.

한반도에 몰아친 감동의 물결은 말해 무엇하랴. 이처럼 마라톤은 우리 민족에게 스포츠 이상의 그 무엇으로 남아있다.

이 감동의 드라마가 오는 23일 수원에서 펼쳐진다.

/최정용 경제부장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