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당 중심의 공천은 그동안 권력, 인맥, 자금 중심으로 지자체 후보를 공천해 왔다. 지구당위원장인 지역구 국회의원이 좌지우지할 수 있다. 국회의원은 이러한 권력을 악용해서 자신의 조직 관리는 물론이고 자금까지도 불법으로 동원할 수 있었다. 여기에 정치브로커들이 모여 불법의 자행은 선민들의 판단을 혼란시키게 한다. 지역주민들의 자율적인 선택과 민주적인 방법으로 지자체 대표를 선출하여야한다. 당연히 정당의 공천제도는 폐지되는 것이 마땅하다.
야당과 시민단체의 강력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반대하는 여당의 속내는 기득권의 영향력 보호 때문이다.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의 공천권을 지역주민 자율에 맡길 경우 영향력이 상실되어 이해관계가 희박해질 수밖에 없다. 박근혜 대통령의 선거공약이기도 한 기초단체장과 의원의 무공천 약속을 저버린 여당은 국민들로부터 강력한 비난을 받고 있다. 여당은 이러한 국민의 비난을 최소화하고자 상향식 공천제를 실시하기로 결정하였다. 국민들은 쉽게 대선공약을 파기하는 집권여당을 이해할 수 없어 한다.
기초단체의 선거는 지역에서 신뢰가 높은 존경받는 사람이 선출될 수 있도록 정당의 간섭을 탈피해야 할 것이다. 오늘도 정당공천을 받기 위해서 중앙당의 권력자나 지구당위원장을 찾아 헤매고 있는 예비후보자의 작태가 한심할 뿐이다. 여당은 궁여지책으로 상향식 공천제를 결정하면서 국민 참여 선거인대회와 공천관리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하였다. 여기에 우선 공천지역을 중앙당에서 선정한다. 여당은 명분상 국회의원의 영향력을 줄이고 국민과 당원의 의사를 반영하는 상향식공천제를 실시하려고 하나 국민들은 외면할 것이다. 야당이 요구하는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여당은 언제까지 반대할 것인가 묻고 싶다.
유권자인 국민의 요구보다는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추구해온 국회의원이나 정당은 다가오는 선거를 통해서 매서운 유권자의 평가를 받을 것이다. 앞으로는 반드시 어떠한 일이 있어도 주민들의 존경을 받는 숨은 지역의 지도자가 단체장과 의원으로 선출되어야 한다. 국민 지지자를 상실한 정치는 독재시절이나 가능하지 지금처럼 열린 민주시대에는 존재하기 어렵다. 국민의 수준과 바람을 존중하여 조속히 오픈 프라이머리를 실시하여 유권자의 욕구를 구현하고 신뢰와 수준 있는 사람을 선출하는 선거를 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