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3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1952년 12월4일 영국 런던. 맑던 하늘에 안개가 끼더니 도시 전체가 갑자기 스모그에 휩싸였다. 스모그는 바람이 전혀 불지 않는 탓에 닷새 동안이나 머물렀다. 때문에 기온이 떨어지고 숨을 쉴 수 없을 정도로 시민들은 고통 받았다. 사망자도 900여명이나 나왔다. 스모그의 여파는 여기에서 멈추지 않았다. 이듬해 여름까지 그 후유증이 이어졌고 모두 1만2천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이 사건은 지금까지 미세먼지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그 이후로 다양한 역학조사가 실시됐다. 조사 결과 10㎛ 이하의 미세먼지 입자(PM10)가 취약집단의 질병 발생률과 사망률을 높이는 등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자 세계 각국은 스모그 등 대기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했고, 미세먼지 발생을 줄이기 위한 대기오염기준을 마련하는 등 대책을 강구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흥공업국들의 대기환경은 개선되지 않고 미세먼지는 점점 더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의 미세먼지 발생국인 중국은 그 심각성이 위험수준을 넘어선 지 오래다. 수도 베이징만 하더라도 비행기가 못 뜨고, 고속도로 통행도 금지되기 일쑤다. 병원은 두통과 목에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거의 매일 줄을 잇는다. 사정이 이러하자 최근엔 ‘정부보다 마스크를 믿는다’며 무대책이나 다름없는 정부를 빈정거리기도 한다.

우리나라도 연일 미세먼지에 뒤덮이고 있다. 대부분 중국발이다. 과거 봄철만 되면 북서풍이나 서풍을 타고 황사라는 이름으로 넘어오더니 최근엔 시도 때도 없다. 골칫거리다. 황사에는 미세먼지와 중금속, 방사성물질, 다이옥신, 바이러스 등 각종 유해물질이 섞여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세먼지는 얼마나 유입됐는지 측정조차 불가능하다. 올해의 경우 30~50%가 유입됐다고 추정할 뿐이다. 1960~1970년대 연탄을 때던 시절 광화학스모그로 서울 하늘이 잿빛이었던 상황보다 더 심각하다.

미세먼지가 더 유입돼 전국으로 확대된다는 예보가 연일 계속되고 있다. 봄은 오지만 미세먼지는 극성을 부리고, 고양이 같은 봄볕은 언제 볼 수 있으려나.



/정준성 논설실장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