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경기도 600년… 과거와 현재, 미래를 보다

 

현직기자로 활동중인 저자

현장취재·인터뷰 내용 모아

경기출신 인물·경기 종가 등

경기도에 대한 궁금증 풀어줘

道 600년 역사속 이야기

알기쉽고 생생하게 풀어내


‘이야기 京畿 600년, 경기는 명당(明堂)이다’는 경기도의 역사·문화 콘텐츠에 대한 이야기다.

인천일보 문화부 등을 거쳐 현재 정치부에서 일하고 있는 저자가 올해 ‘경기도 600년’을 맞아 현장 취재와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경기(京畿)의 뿌리와 경기사람의 삶을 취재한 내용이 담겨져 있다.

이 책은 경기 출신 인물과 경기 종가, 사통팔달 경기 옛길, 8일간의 화성 행차, 경기 먹거리, 경기 명당, 조선왕릉, 생태계의 보고 DMZ, 경기 문화상징, 경기 경관, ‘종교의 성지’ 경기도, ‘농업의 중심’ 경기, 경기 산업의 현주소, 다문화 해방구 ‘원곡동 아리랑’ 등 경기의 뿌리에서부터 현재의 모습까지 경기도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준다.

책은 경기의 뿌리와 문화원형(인문·역사·자연), 디지털 문명 등 3개 주제로 구성됐다.

제1주제에서는 경기의 역사와 문화의 특징을, 제2주제에서는 인문, 역사, 자연 등 3개 분야로 구분해 경기도의 문화원형을 소개한다. 제3주제는 디지털 문명의 중심으로서의 현재 경기도의 현주소를 엿볼 수 있다.

저자는 책을 통해 “경기도는 근분의 땅(根本之地)이다. 경기도는 팔도의 사람과 정보, 문화가 소통하는 이른바 회통처(會通處)다. 분열된 문화를 하나로 모으고, 앞선 문물을 세계로 전파하는 사통팔달의 열린 공간”이라고 말했다.

또 “경기도 사람은 소나무와 같다. 융·건릉의 소나무처럼 군집을 이루면서도 고풍스럽고 개체 속성이 강하다. 또 심성이 단아하고 경우가 바른 경중미인(鏡中美人)으로 불린다”고 했다.

올해가 경기도 탄생 600년을 맞이하는 해다. 600년 전 1414년(태종 14) 1월, 태종실록에 “경기 좌우도(京畿左右道)를 고쳐서 경기(京畿)라고 칭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京畿’란 ‘서울(京)’과 ‘서울 주변지역(畿)’을 일컫는다. 경기도는 고려의 개성과 조선의 한양, 수도 서울을 가슴에 품어온 지 600년이다.

저자는 천년 왕도를 품은 장대한 600년 역사가 담고 있는 이야기를 쉽고 생생하게 풀어냈으며, 한국사의 전개 과정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던 경기도가 앞으로 새로운 600년을 어떻게 준비해나갈 것인가에 대한 기대와 고민을 이책에 담았다.

/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