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3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단상]이제 ‘평창’을 준비하자

 

장하다. 역시 ‘피겨여왕’ 김연아였고 ‘빙속여제’ 이상화였다. 거기에 또 박승화·심석희·조해리·김아랑과 이승훈·주형준·김철민 등이 있었다. 자랑스러운 태극전사들이 러시아 소치 동계올림픽 시상대 앞에서 태극기를 휘날렸다. 메달 색깔이 금이면 어떻고 은이나 동이면 어떠랴. 그리고 메달권엔 들진 못했지만 4년 후 평창올림픽 금메달 획득의 꿈을 키우기 위해 비인기 종목임에도 불구하고 처음 출전한 수많은 어린 선수들의 패기 넘친 모습도 든든하고 대견스럽다. 모두 수고했다.

김연아는 세계 최고의 무결점 연기를 깔끔하게 보여주며 성원을 보내 준 모두를 행복하게 했다. 세계 언론이 이구동성으로 지적하듯이 ‘홈 텃새’로 은메달에 그쳤지만 연아가 연출한 경기력과 배려의 마음은 금메달 그 이상의 감동이었다.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대회 2연패를 달성한 이상화는 자신의 지난 올림픽 기록과 동시에 올림픽 신기록까지 갈아 치워 의미가 더욱 컸다. 조해리·박승희·김아랑·심석희로 구성된 여자 쇼트트랙 대표팀은 3000m 계주에서 8년 만에 정상을 찾았다. 3000m 계주는 우리 대표팀이 1994년부터 4회 연속 금메달을 딴 종목이다. 2010년 밴쿠버 대회 때는 1등으로 들어오고도 석연찮은 실격 판정으로 메달 획득에 실패한 적이 있어 이번 금메달 탈환은 더욱 값지다.

이들이 정상에 오르는 동안 얼마나 고달팠을까. 또한 메달을 목에 걸지 못한 선수들도 얼마나 마음 고생이 심했을까. 동계스포츠 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지 못한 현실을 탓하지 않고 ‘하면 된다’는 불굴의 정신으로 불철주야 노력한 그들에게 기립박수를 보낸다.

이제 잔치는 끝났다. 4년 뒤 지구촌 선수들은 평창으로 몰려온다. 우리는 이 평창축제를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 경기장을 건설하고 선수를 육성하는 등 국민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세계를 행복하게 해 준 연아를 키워낸 나라에 피겨스케이팅을 배울 전용링크 하나 없는 게 우리 현실이다.

대회에 필요한 10여개의 신설 경기장과 선수촌은 막대한 비용을 들여 이제부터 건설에 들어간다. 대회가 끝난 후 이 시설들을 어떻게 활용할 대책도 세워야 한다. 상당수의 올림픽 개최지마다 경기장 운영난에 허덕이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솔트레이크시티와 노르웨이의 릴리함메르는 스포츠 전지훈련과 각종 대회가 열리는 효자 경기장들이 됐다는 사실을 잘 파악해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선수층도 확대해야 할 과제다. 겨울스포츠의 꽃 스키종목은 불모지나 다름없다. 그나마 소치에서 컬링과 빙속팀추월 모굴스키 스켈레톤 종목에서는 가능성이 있는 기쁨의 눈물을 충분히 보았으니 이 분야를 어떻게 육성할지도 숙제다.

평창올림픽은 한국이 진정한 선진국의 모습을 보여줄 절호의 기회다. 경제유발효과 20조원 고용창출 25만명에 이른다. 한국은 월드컵축구 4강에 하계올림픽 7위의 스포츠 선진국이다.

드디어 동계올림픽도 10위권 이내 최상위권으로 끌어올릴 기회가 다가왔다. 평창 동계올림픽의 비전인 ‘새로운 지평(New Horizons)’을 향해 힘을 모으자.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