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감 선거가 후보 난립 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출마자들이 혁신교육을 두고 진보와 보수 성향에 따라 뚜렷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진보성향의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이 ‘모든 학생의 창의력을 키우겠다’며 도입한 혁신학교, 창의지성교육, 학생인권조례, 무상급식 등의 혁신교육 정책은 결국 선거 결과에 따라 정책의 유지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6·4지방선에 출마를 선언한 후보는 12일 현재 8명으로, 교육감주민직선제 이후 역대 최다인데다 향후 출마자도 더 늘 것으로 예상돼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진보 측 권오일 전 에바다학교 교장은 11일 도교육감 출마를 선언하며 “혁신학교, 무상급식 등은 성과가 많다. (혁신교육을)지속시켜 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앞서 출마를 선언한 진보 측 최창의 도의회 교육의원은 혁신교육과 함께 창의성을 강화할 방향을 제시했고, 이재삼 교육위원장은 혁신교육에 방해가 되는 문제 해결을 강조한 바 있다.
반면 보수 성향 출마자들은 혁신교육의 전면 수정 등을 내세우고 있다.
보수 측 박용우 전 송탄제일중학교 교사는 혁신학교와 학생인권조례를 포퓰리즘으로 보고 전면 폐지하는 방향으로 공약을 수립 중이며 무상급식은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검토 대상으로 뒀다.
권진수 전 양서고등학교 교장은 지난 3일 출마 선언 자리에서 혁신학교, 무상급식, 학생인권을 맹비난한 바 있다.
강관희 교육의원은 10%의 혁신학교가 90%의 일반학교·학생을 희생시키는 역차별 실험교육이라고 주장했고 김광래 교육의원은 학생인권조례를 대폭 수정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중도보수를 표방하고 있는 최준영 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총장은 혁신교육을 일부 수용하면서도 비판적 입장을 명확히 했다.
이밖에도 보수 측에서는 정종희 전 부흥고등학교 교사가 출마 선언을 준비하고 있으며 진보 측에서는 일부 대학 교수 등이 또 다른 후보로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6명의 후보가 나섰던 2009년 선거의 경쟁률을 가볍게 뛰어 넘은 상태다.
한편 도교육청은 현재 도내 전체 2천250개 초·중·고교 중 282곳(12.5%)을 혁신학교로 운영, 혁신학교의 우수 교육사례를 일반학교로 확산하고 있으며, 무상급식은 도교육청과 31개 시·군이 예산을 대응 투자해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유·초·중학교 전체 학생에게 시행하고 있다./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