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지방선거를 80여일 앞두고 자치단체장 선거에 출마하려는 후보자들의 선거캠프에 전직 구청장을 비롯한 지자체 산하기관장 등 해당 지역 공무원 출신 인사들의 참여가 줄을 이으면서 단체장 선거캠프가 퇴직 공직자들의 사랑방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일부 퇴직 공직자들은 현 단체장에 의해 산하기관장에 취임했는데도 경쟁후보의 선거캠프에서 핵심 역할을 맡는데다 산하기관장 퇴직도 하기 전부터 후보자들의 출마와 관련된 각종 행사에 참석하는 등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12일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현재 수원시와 용인시 등 자치단체장 선거에는 수원시 5명(새누리4, 무소속1), 용인시 13명(새누리13)이 예비후보로 각각 등록하는 등 선거운동이 본격화되고 있다.
예비후보 등록을 마친 후보자들이 선거캠프 구축에 나서면서 지역 주민에 대한 영향력은 물론 여론 형성에 큰 역할을 하는 공무원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퇴직 공직자에 대한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다.
이 결과 구청장이나, 공직에서 물러나 산하기관장 등을 지낸 퇴직 공직자들이 선거캠프에 합류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수원시의 경우 김용서 전 시장 선거캠프에는 현 시장 취임 이후 구청장에 부임해 퇴직해 시 산하기관장에 재직하다 퇴직한 A씨가 사무국장으로 선거운동 전반을 지휘하고 있고, 같은 전철을 밟은 B씨도 김용남 변호사의 선거캠프에 중요업무를 맡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B씨는 시 산하기관장 퇴직 다음날 수원시장 선거의 새누리당 유력 후보자의 출판기념회에 참석하는 등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용인시장 예비후보자들의 선거캠프는 퇴직 공무원들의 참여율이 더 높다.
최승대 전 부시장 선거캠프에는 구청장 출신 퇴직 공무원만 3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김기선 전 도의원 캠프에도 구청장 등이 포진해 선거운동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C시 공무원 김모씨는 “퇴직한 공무원 선배들이 선거캠프에서 일하는데 현직에 있는 공무원으로서 입장이 난감할 때가 한두번이 아니다”라며 “후보자들이 퇴직한 공직자들을 영입하려는 이유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현 단체장으로부터 각종 혜택을 받았으면서도 경쟁 후보자의 선거캠프에서 일하는 모습은 보기 좋지 않다”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