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세월호 참사를 겪으면서 국민들은 비탄에 잠겼고 어른들은 부끄러워했다. 300여명이나 되는 승객들이 차가운 바닷물 속에서 숨이 끊어진 채 발견됐거나 아직도 실종상태다. 이 가운데 대다수가 안산 단원고 학생들이다. 미처 피어보지도 못한 꽃들이다. 슬픔과 분노가 이 나라를 지배하고 있다. 이에 더해 들려오는 비리와 사회에 만연한 안전 불감증에 절망한다. 이 와중에 지난 2일엔 서울 지하철 2호선 추돌 사고가 일어나는 등 안전사고가 거듭 발생해 국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이 사고에서도 운영·안전 관리상의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안전사고는 너무 자주 일어난다. 이 나라의 정부 및 관리기관들은 모두 안전불감증에 걸린 듯하다. 올해 봄철 들어 세월호 사고와 상왕십리 지하철 추돌 사고 외에도 배·철도·버스 등 많은 사고가 발생했다. 따라서 요즘 국민들의 불안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교통과 운송 부문만이 아니라, 건축·환경·사회 등 모든 분야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성은 상존한다. 그 중의 하나가 유해화학물질이다. 화학물질은 이미 구미 불산 유출사고나 화성시 삼성반도체 불산 유출사고를 통해 위험성이 널리 알려졌듯이 불특정 다수의 생명과 환경에 엄청난 피해를 줄 수 있다. 특히 색깔도 없고 냄새도 없는 유해화학물질의 경우엔 더 심하다.
경기도엔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이 많다. 도는 지난 4월23일부터 5월9일까지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등 환경안전사고 우려 사업장 405개소에 대한 집중 점검을 실시한 바 있다. 이 결과 유독물 사용 등록을 하지 않고 무단으로 사용해 온 업자, 무허가 배출시설 설치, 방지시설 비정상 가동 등 불법을 일삼아 오던 26개 불법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이 단속에 적발됐다. 도는 이들 업소에 대해 고발조치와 조업정지 등 행정조치를 할 예정이다.
도는 단속과 함께 화학물질 유출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경제적으로 어려운 중소기업의 노후시설 개선과 교체 비용 지원을 위해 국비를 신청하는 한편 사업장 맞춤형 컨설팅을 실시하고, 환경기술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도의 노력이 성과를 거두길 바란다. 이제는 무엇보다 국가나 지자체, 국민 모두 안전관리의 기본을 지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정부는 전 분야에 걸친 ‘개혁 수준’의 안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세금을 내고 사는 국민들은 안전한 환경 속에서 생명과 재산의 위협을 받지 않고 행복하게 살 권리가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