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지방자치 출범이 13일 후면 시작된다. 당선자들은 그간 유권자에 대하여 고맙다는 인사를 하였다. 더불어 철저한 인수·인계 작업을 마치고 새로 선출된 단체장의 인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신임 자치단체장은 과거처럼 선거를 도와준 사람에게 자리를 만들어주는 관피아 관행에서 벗어나야 한다. 광역시 산하 지방공기업 기관장의 경우 60%가 지자체 관료출신이다. 여기에 상임이사와 감사도 70%가 지자체 관료출신이 차지 하고 있다.
경기도의 관피아도 이와 비슷한 실정이다. 자치단체장은 고유하고 특별한 권력인 듯 오인하고 있다. 전문성과 도덕성은 관계없이 단체장의 당선을 위해서 헌신한 사람에 대한 보답만을 생각할 뿐이다. 현실적으로 관련 업무에 대한 무지와 무능한 사람이 자리만 지키고 월급만 타먹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바른사회시민단체가 전국 광역자치단체 산하 지방공기업 28곳의 상임과 비상임 임원 225명을 분석한 결과, 26%가 해당 지자체 관료출신이다. 이중 기관장은 68%가 해당 지자체 관료출신이고 21%는 중앙정부와 공기업출신이다. 반면에 내부 승진자는 21%이며 비상임 임원은 141명 가운데 지자체 출신은 6%에 불과하다. 특히 인천광역시의 경우 지자체 관료출신이 31%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선거 때 도와준 사람들로, 보은과 측근 인사들이 차지한다. 28개 지방공기업의 임원 225명 중에는 지자체장 선거 캠프나 인수위원회, 공약실행위원회에 참여했거나 지자체장이 후보 시절 지지를 선언했던 인사가 13%나 포함된 것도 문제다. 해당 지자체 광역의원 또는 총선과 지방선거 출마 경험자, 지자체장 소속 정당 관계자 등 정치권 인사도 8%를 차지 하고 있다. 이 같은 잘못된 관행을 근절하기 위한 제도개선이 절실하다.
지방행정을 성숙시키기 위해서는 중립가치를 지향하며 성실하게 근무하는 능력 있는 구성원을 자체 승진함을 원칙으로 한다. 특별한 전문성과 유능한 사람만을 엄격한 규정에 의해서 공개적으로 특채하도록 한다. 공기업 임원추천위원회의 시스템을 개선하여 임원채용 자격심사 기준부터 바꿔야 된다. 공인받은 업적과 유능한 자질을 함양한 사람을 뽑을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간다. 관피아를 완전히 철폐하여 진정한 자유민주주의 기틀을 다져가야 한다. 성실하고 유능한 사람이 대접받는 사회를 만들어가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