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재·보궐선거의 판이 커지고 있다. 현재 확정된 곳이 수원 3곳을 비롯해 14곳에다가 26일 두 건의 대법원 판결에 따라 늘어날 수도 있다. 여야가 거물 정치인들을 내세우려 하는 이유는 이번 재·보선이 민심의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수도권 경기지역의 경우 특히 여야 거물급 인사들의 출마 하마평이 나오는 등 이른바 ‘정피아’의 등장이 정가의 관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선거의 승리를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일이라지만 자칫 낙하산 공천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수원지역의 3군데 가운데 여당은 우선 지명도에서 앞서는 김황식 전 국무총리의 출마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게다가 이혜훈 전 최고위원, 나경원 전 의원,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 외지 인사들이 거론되고 있다. 김 전 총리는 높은 지명도와 호남 출신이어서 수원지역에서 승산이 있는 카드로 여권은 보고 있다. 야당도 여당에 맞서 거물급 인사가 거론되기는 마찬가지다. 먼저 경기도지사를 지낸 광명 출신의 손학규 고문의 출마 가능성에다가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 김두관 전 경남지사, 정동영 전 의원, 천정배 상임고문, 안철수 대표 측근인 금태섭 대변인 등 지역과 전혀 관계없는 인사들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정치에 지역이 따로 있을 수는 없다고 하지만 이 같은 상황이 실제로 벌어진다면 지역 민심에 이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회의원은 작은 지역을 보고 결정하는 것보다 훌륭한 자질이 우선이라고 어느 정치인이 말했지만 이는 어불성설이다. 지역 주민이 국회의원을 만들어주고 또 국회의원은 지역발전과 지역 민심전달에 큰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이다. 비례대표 국회의원과 크게 다른 이유다. 그럼에도 선거 때만 되면 이 지역, 저 지역을 기웃거리며 출마를 저울질하는 행위는 개인의 명예만을 앞세우는 ‘정치꾼’이나 다름없는 행동이다. 이게 ‘정피아’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공천은 기본적으로 정당의 일이다. 앞으로의 공천을 놓고 오로지 당선만을 위해 엉뚱한 공천이 이뤄질지 모를 일이다. 정치꾼들의 돌려막기식, 회전문식 공천으로는 안 된다. 적어도 지역에 뿌리를 두고 지역민과 함께 호흡했던 인물들을 공천해야 한다. 수도권 주민들의 민심은 만만치 않다. 인지도만 믿고 낙하산을 타고 내려 보낸다는 것은 오만과 오판으로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이번 재·보선에서는 금배지를 위해 기웃거리는 ‘정피아’를 배제하는 것도 정치권의 중요한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