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가운데 국민으로부터 신뢰와 사랑을 가장 많이 받는 직종은 소방공무원일 것이다. 보기만 해도 끔찍한 공포의 화염과 지옥 같은 유독가스를 뚫고 들어가 생명을 구하고 화재를 진압하는 모습은 감동을 준다.
또 위급상황에 처한 국민들을 구조하는 119구조대는 감사와 존경의 대상이다. 그래서 소방관을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들도 많이 나왔다. 그러나 이런 겉모습과 달리 소방관들의 근무환경은 열악하기 이를 데 없다. 인력 부족과 장비 노후화가 심각하다. 일부에서는 사비를 들여 방화장갑 등을 사서 현장에 출동해야 한단다.
따라서 소방공무원의 증원과 함께 소방직의 국가직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에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소방공무원들이 1인 침묵시위를 하거나, 교육·연가·병가 중인 소방공무원 3천명을 제외한 4만명의 지방 소방공무원 모두가 국가직 전환에 동의하고 서명한 것은 절실함의 표현이다. 재정이 탄탄한 지자체는 양질의 장비나 제품을 쓰지만 재정여건이 안 좋은 지자체는 노후장비를 사용해야 한다. 즉 안전서비스도 부자 지역과 가난한 지역의 차별이 존재하는 것이다. 국민 안전을 위해선 이 차별이 사라지고 소방공무원 수도 증원돼야 한다.
이에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지난 선거에서 ‘안전한 경기도’를 내세우며 약 4천명 규모의 소방공무원 증원 계획을 공약했다. 그는 당시 ‘경기도의 소방공무원이 적정수준에서 4천명 모자란다’면서 소방공무원 4천명 충원에 들어가는 약 2천400억원은 국비부담 확대와 도비 추가를 통해 부담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야당에서는 ‘도내 소방공무원 4천명을 증원하겠다는 것은 국가 예산확보나 지방재정을 고려하지 않은 졸속공약’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그리고 안타깝지만 남 지사의 소방공무원 4천명 증원계획이 예산문제 등으로 쉽지 않을 것 같다.
소요 재원 마련대책이 없는데다 도내 소방학교에서 배출되는 잠재적 소방 인력도 연간 최대 500여명, 4년간 2천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 지사 임기 내에 추진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증원 규모에 대한 축소가 불가피하다고 한다(본보 10일자 1면). 이를 위해 국비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울러 도내 소방학교 시설도 확충돼야 한다. 이는 전국 모든 지자체에도 해당되는 사항이라 경기도에만 특별 지원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소방공무원 증원은 꼭 이루어져야 할 일이다. 도는 물론 국가 차원에서 증원에 적극 노력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