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축산물 생산비 조사’에 따르면 축종별 사육 농가의 한 마리당 적자액은 한우 번식우가 146만5천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육우 134만4천원, 한우 비육우 57만3천원, 비육돈 2만8천원, 산란계 314원 등으로 조사됐다. 원인은 급등한 사료값 때문이다.
한우 비육우는 사료비가 2012년 41.6%에서 지난해 45.8%로 높아졌다. 육우도 전체 생산비 중 사료비 비중이 2012년 58.7%에서 2013년 61.2%로 상승했다. 또 비육돈은 52.5%→55.5%로 높아졌다. 여기에 더해 축산물 가격 하락으로 채산성은 악화되고 있다.
비싼 사료를 먹여 키운 한우가 수급 불균형으로 지금처럼 제값도 받지 못한다면 축산농가의 붕괴는 불을 보듯 뻔한 것이다. 특히 영세한 소규모 축산농가는 살 길이 막막해진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축산물 수입 증가, 구제역·AI 등 악성 가축전염병의 빈번한 발생 등도 가뜩이나 고사상태인 축산농가의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일부 선택된 계층을 제외한 국민들은 이제 국내산 축산물을 먹을 수 있는 기회조차 사라질지 모른다. 축산업을 진흥시키는 것은 국내 축산 농민들을 살리고 먹거리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일이다.
따라서 축산농가를 유지시키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해결돼야 할 문제는 또 있다. 축산농민들의 초고령화다.
국내 축산농가는 이미 심각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지만, 영농승계 대책은 매우 미흡하다고 한다(본보 15일자 7면). 다시 말하자면 농장을 이어받을 사람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농협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축산농가의 고령화와 영농승계 활성화 대책 필요’라는 보고서엔 전체 축산농가의 고령화율(65세 이상)이 44.3%(20% 이상 초고령화)로 우리나라 전체의 3.6배, 농업분야의 1.2배에 달한다고 한다.
특히 고령화 비율이 높은 곳은 산란계(49.2%)와 육계(48.5%), 한우(45.5%), 오리(40.9%) 등을 사육하는 농가였다. 참 걱정스러운 것은 이 같은 초고령화에 대비한 영농승계자 확보비율은 저조하다는 것이다. 영농 승계자를 확보하지 못했다는 비율이 49.4%나 됐다. 승계자가 없다는 것은 대가 끊긴다는 것으로 국내 축산농업은 큰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이에 대해 농협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영농 승계 시 농지에 대한 납세 유예제도, 가업승계 컨설팅 프로그램 도입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권고한다. 위기를 막을 정부의 획기적인 대책을 기대한다.